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03
어제:
1,186
전체:
764,492

한자 嘗 糞

2013.07.19 22:08

이규 조회 수:1774


嘗맛볼상
糞똥분


 변을 맛봄 … 지극한 효성 의미

 

 옛날에는 효(孝)를 오륜(五倫)의 으뜸이자 백행(百行)의 根本으로 여겼던 만큼 이에 관한 설화(說話)도 많다. 자기부모의 藥으로 삼기 위해 죽였는데 알고 보니 동삼(童蔘)이었다는 이야기,또 심청의 이야기 등은 孝의 극치(極致)라 할 수 있다. 中國에도 비슷한 이야기는 많다. 남북조(南北朝)때 유검루(庾黔縷)는 이름난 孝子였다. 그의 孝行에 感動해 平素 出沒하던 호랑이가 自炊를 감추기도 했다.
 그가 잔릉(棧陵)의 현령(縣令)으로 있을 때 아버지의 病患 소식을 듣고 즉시 官職을 파하고 돌아갔다.『병세(病勢)를 알기 위해서는 변의 맛을 봐야 하오.』 의원(醫員)의 말에 검루는 즉시 손가락으로 변을 찍어 맛보았다. 마침 아버지는 痢疾에 걸려 심한 泄瀉(설사)를 하고 있던 중이었다. 달고 매끄러운 것이 여간 심상치 않았다. 이때부터 그는 매일 밤 북진(北辰․북극성)에 빌었다.그의 孝心에 하늘도 感動했는지 소리가 들려왔다.『수명은 다했다.다만 너의 孝誠을 봐서 이달말까지만 延長해 주겠다.』
 과연 아버지는 그달 그믐에 죽었으며 검루는 삼년간 「시묘(侍墓)」했다. 이때부터 상분(嘗糞)은 至極한 孝誠을 뜻하게 되었다.「嘗糞」은 또한 「아첨의 극치」를 뜻하기도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2 法 曹 이규 2013.08.13 1773
101 秀 才 셀라비 2014.03.19 1772
100 氷上人 이규 2013.08.23 1769
99 蛇 足 셀라비 2014.10.24 1766
98 玉 石 LeeKyoo 2014.02.12 1766
97 隔靴搔痒 셀라비 2014.12.02 1761
96 社 會 셀라비 2014.03.18 1758
95 格物致知 셀라비 2014.12.01 1756
94 洞 房 셀라비 2014.07.02 1755
93 解語花 셀라비 2013.12.23 1752
92 鍛 鍊 셀라비 2013.12.12 1752
91 鼓 舞 이규 2013.11.01 1752
90 螢雪之功 셀라비 2014.07.23 1749
89 逐 鹿 셀라비 2013.12.25 1746
88 鼎 革 이규 2013.12.09 1745
87 洛陽紙貴 셀라비 2013.10.29 1744
86 傍若無人 셀라비 2013.11.26 1743
85 品 評 셀라비 2014.06.24 1742
84 濫 觴 셀라비 2014.06.20 1742
83 身土不二 이규 2013.11.04 1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