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36
어제:
1,186
전체:
764,725

審判

2012.10.30 19:56

이규 조회 수:1918

審  살필   심
判  판단할 판

 

審判- 잘잘못을 명확히 가림

 

審은  면  (지붕 면), 采(가릴 변), 田(밭 전)의 결합이다.    이 지붕의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집’을 뜻한다. 家(집 가), 安(편안할 안), 室(집 실), 字(글자 자), 官(벼슬 관) 등이 그 예이다.
 采는 여러 갈래로 갈라져 있는 동물의 발가락(발톱) 모습이다.  대체로 눈이나 모래 위에 나있는 발자국을 보면 그 동물의 종류를 가려낼 수 있다.  그래서 ‘구별하다(辨)’, ‘가리다(擇)’의 뜻을 가지고 있다.  釋(풀이할 석)도 여기서 나온 글자다.
 한편 田은 여기에서는 ‘밭’이 아니라 동물의 발바닥이다. 그러니까 番(순서 번)은 본디 동물의 발자국을 뜻하는 글자로 여기서 후에 ‘구별’, ‘순서’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審의 본 뜻은 ‘집(法廷)에서 是是非非를 가리는 것’이다.  審問(심문), 審査(심사), 不審檢問(불심검문), 豫審(예심)이 있다.
  判은  刀와 半의 결합으로 ‘칼로 반쪽내다’라는 뜻이다. 따라서 判은 본래 뜻은 ‘쪼개다’였다. 그런데 어떤 사물이든지 둘로 나누면 確然(확연)하게 구별된다.  따라서 判 역시 ‘구별하다’는 뜻도 가지고 있다.
 判決(판결), 判異(판이), 談判(담판), 批判(비판) 등 많다.
 곧, 審判은 法官이 法廷에서 法律에 根據, 良心에 따라 잘잘못을 가리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나무를 쪼개듯 명확하게 말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2 한자여행 이규 2012.10.28 5237
261 Ⅰ. 한자어의 이해 이규 2012.11.23 1758
260 한자어의 짜임 - 병렬관계 이규 2012.11.24 2361
259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1995
258 한자어의 짜임 - 주술 관계 이규 2012.11.26 2189
257 한자어의 짜임 - 술목, 술보관계 이규 2012.12.03 3840
256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2067
255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1962
254 遠交近攻 이규 2013.07.04 1850
253 董狐之筆 이규 2013.07.05 1858
252 朝三募四 이규 2013.07.10 1803
251 不忍之心 이규 2013.07.13 1960
250 蹴 鞠 이규 2013.07.16 2068
249 黃 砂 이규 2013.07.18 1859
248 嘗 糞 이규 2013.07.19 1789
247 快 擧 이규 2013.07.21 1995
246 歸 順 이규 2013.07.23 1909
245 誣 告 이규 2013.07.24 1971
244 家 庭 이규 2013.07.25 1877
243 春困症 이규 2013.07.27 18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