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79
어제:
289
전체:
769,356

한자 道 路

2013.08.17 21:54

이규 조회 수:2023

道 路

 

 

 

 

(움직일 착)(머리 수)結合이므로 얼굴을 들고 보무(步武)도 당당하게 걸어갈 수 있는 이다. 도덕(道德)도의(道義)정도(正道)차도(車道)가 있다. 한편 (발 족)(각각 각)結合이므로제각기() 걸어갈 수 있는()이 되겠다. 노면(路面)노정(路程)가로(街路)통로(通路)가 있다. 이처럼 둘 다 을 뜻하므로 지금은 그저 道路라고 하지만 옛날에는 그 區別嚴格했다. 둘 다 한 方向으로 통하는길을 뜻하지만 는 수레 두 대는 세 대가 다닐 수 있는 길이다. 따라서차선이라면 차선인 셈이다. 보다 더 넓은 길이었음을 알 수 있다. 항로(航路)해로(海路)활주로(滑走路)가 그렇다. 우리는 고속도로(高速道路)라고 부르지만 중국 사람들은 고속공로(高速公路)라고 한다. 물론 길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그것을 뜻하는 漢字도 각기 다르다. 네거리를가()골목길을 항()산속의 조그만 小路 길을 혜()논밭길을 경()이라고 했다. 소나 말이 겨우 다닐 정도로 좁았으므로 지름길로 도쓰였다. 첩경(捷徑)이 있다. 재미있는 것은 行政區域으로 사용되었다는 점이다. 中國 唐나라 때는 從前로 바꾸고, 전국을 10로 나누었다. 現在에 해당한다. 물론 一定地域을 잇는 길을 따라 區劃했다. 나라에 오면 로 바뀌게 된다. 制度나라에 오면서 廢止되고 現在으로 바뀌었다. 우리는 지금도 를 사용하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2 隔靴搔痒 셀라비 2014.12.02 1871
241 格物致知 셀라비 2014.12.01 1869
240 乾木水生 셀라비 2014.11.30 1660
239 乾坤一擲 셀라비 2014.11.29 1491
238 甲男乙女 셀라비 2014.11.27 1425
237 甘呑苦吐 셀라비 2014.11.26 1691
236 感慨無量 셀라비 2014.11.25 1743
235 渴而穿井 셀라비 2014.11.24 2190
234 肝膽相照 [1] 셀라비 2014.11.23 1648
233 刻舟求劍 셀라비 2014.11.21 1522
232 刻骨難忘 [1] 셀라비 2014.11.19 1530
231 佳人薄命 셀라비 2014.11.18 1884
230 家書萬金 셀라비 2014.11.17 1705
229 三十六計 셀라비 2014.10.30 1571
228 未亡人 셀라비 2014.10.29 1504
227 三人成虎 셀라비 2014.10.28 1481
226 墨翟之守 셀라비 2014.10.25 1653
225 蛇 足 셀라비 2014.10.24 1895
224 無用之用 셀라비 2014.10.21 2699
223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2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