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78
어제:
257
전체:
762,380

한자 遠交近攻

2013.07.04 21:44

이규 조회 수:1744


遠멀원
交사귈교
近가까울근
攻칠공

 먼나라와 사귀고 가까운 나라를 침


  秦이 天下를 借地하게 된 데에는 여러 要因이 있겠지만 무엇보다 重要한 것은 歷代 君主들이 人才를 볼 줄 알았기 때문이다.본디 秦은 西方에 있던 未開國으로 國外 人士를 積極的으로 招聘,强國의 기틀을 잡아나갔다.당시 招聘된 代表的 人物에 상앙(商昻)․장의(張儀)․범저(范雎)․이사(李斯)가 있다. 이 가운데 常昻과 李斯는 內政에,張儀와 范雎는 外交에 貢獻했던 人物이다.張儀가 連衡策을 主張했다면 范雎는 遠交近攻策을 建議했다.
   范雎는 본디 魏나라 사람으로 祖國에서 登用되기는 커녕 억울하게 諜者란 陋名을 뒤집어쓰고 초주검이 되도록 맞은 다음 가까스로 秦으로 亡命해 出世한 人物이다.당시 秦은 齊를 치고자 했다.范雎가 말했다.『韓․魏 두 나라를 거쳐 그것도 强國인 齊나라를 친다는 것은 賢明한 일이 아닙니다.또 얼마 되지않는 軍士로 쳐보았자 齊나라는 꿈쩍도 하지 않을 것이며, 그렇다고 大軍을 出  動시키는 것은 秦의 安危에도 좋을 것이 없습니다.最上의 方策은 먼저 먼 나라와 親交를 맺고 가까운 나라부터 치는,다시 말씀드려 遠交近攻策이라 하겠습니다.利害得失이 이처럼 分明한데 먼 나라를 치다니요.』 결국 昭王은 戰爭을 斷念했으며, 이 일로 范雎는 宰相에까지 오르게 되었다.이 때부터 遠交近攻은 秦의 對外政策의 骨幹이 되었으며, 張儀의 連衡策과 結合해 마침내 天下統一의 大業을 이룩할 수 있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2 肝膽相照 이규 2013.11.12 2006
101 乾坤一擲 이규 2013.11.10 1696
100 痼 疾 이규 2013.11.07 1687
99 猖 獗 이규 2013.11.06 1662
98 物 色 이규 2013.11.05 1694
97 身土不二 이규 2013.11.04 1656
96 雲 雨 셀라비 2013.11.02 1535
95 鼓 舞 이규 2013.11.01 1678
94 豈有此理 이규 2013.10.31 1751
93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1879
92 洛陽紙貴 셀라비 2013.10.29 1675
91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1953
90 信賞必罰 셀라비 2013.10.27 1983
89 問 津 이규 2013.10.25 1773
88 效 嚬 셀라비 2013.10.24 1768
87 大器晩成 이규 2013.10.22 1853
86 義 擧 이규 2013.10.21 1662
85 苛斂誅求 이규 2013.10.21 1669
84 街談港說 셀라비 2013.10.20 1572
83 發祥地 이규 2013.10.20 1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