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13
어제:
1,186
전체:
764,702

諱之秘之

2013.06.25 21:10

이규 조회 수:1676


諱꺼릴휘
之갈지
秘비밀비
之갈지

 

 시비를 가리지 않고 흐지부지 넘어감

 

  諱는 언(言)과 위(韋)의 結合인데 여기서 韋는 가운데의 「口」를 境界로아래 위 두 부분이 서로 어긋나 있는 模襲이다.따라서 본디 뜻은 「相反되다」「어긋나다」가 된다. 後에 韋는 「부드러운 가죽」을 뜻하기도 하는데,(韋帶,韋編) 본디 딱딱하고 무거웠던 가죽(皮)의 性質과는 전혀 「어긋나기」때문이다.또 皮의 改良形에 革(가죽 혁)도 있는데 사실 革에도 같은 뜻이 內包돼 있다. 그래서 범인(凡人)과는 어긋나게 뛰어난 사람(人)이 偉(위대할위),날줄(經)에 어긋나게 쳐진 실이 緯(씨줄 위),어긋나게 걷는 模襲이 違(어길 위)가 아닌가. 곧 諱는 「말을 어긋나게 하는 것」으로 사실대로 말하지 않고 엉뚱하게 피해서 하는 말이다.그래서 諱는 「꺼리다」「피하다」는 뜻도가지고 있다.대체로 옛날 祖上이나 王의 이름을 함부로 부를 수 없어 자(字)나 호(號)를 부르곤 했는 데 그것 역시 일종의 諱,또는 피휘(避諱)라고했다.휘기(諱忌),휘언(諱言),휘질(諱疾)이 있다.
  한편 秘는 示와 必의 結合인데 여기서 示는 鬼神,祖上을 뜻한다. 곧 秘는 마치 鬼神의 일처럼 으슥하고 隱密해 도무지 알 수 없고 종잡을 수 없다는 뜻이다.비결(秘訣),비밀(秘密),비법(秘法),비화(秘話),극비(極秘),신비(神秘)가 있다. 따라서 諱之秘之라면 시비결과(是非結果)를 分明하게 밝히지않고 구렁이 담 넘어가듯 어물쩍 끝내버리는 것을 뜻한다.眞實을 가리는 行爲로서 결코 좋은 의미는 아니다. 흔히 「흐지부지」라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2023
61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2027
60 人 倫 이규 2013.07.29 2028
59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2032
58 問 鼎 이규 2013.11.23 2036
57 文 獻 셀라비 2014.03.03 2036
56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2041
55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2042
54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2047
53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2056
52 犬馬之心 이규 2013.09.27 2060
51 千字文 이규 2013.10.12 2062
50 持 滿 이규 2013.11.28 2065
49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2066
48 蹴 鞠 이규 2013.07.16 2066
47 信賞必罰 셀라비 2013.10.27 2081
46 紛 糾 이규 2013.09.25 2083
45 股肱之臣 이규 2015.01.12 2086
44 夜不閉戶 이규 2013.08.29 2090
43 肝膽相照 이규 2013.11.12 20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