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38
어제:
264
전체:
768,526

誘 致

2013.06.17 20:54

이규 조회 수:1683


誘꾀일유
致이를치


 권유하여 끌어 옴

 

  誘는 言(말씀 언)과 秀(빼어날 수)의 결합이므로 말로 잘  타일러 사람을 훌륭하게 만드는 것이다.그러기 위해서는 聖人의 말씀과 같은 敎訓的인 말이 必要하다. 여기서 誘는 「가르치다」「인도하다」등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유도(誘導)․권 유(勸誘)가 있다. 이처럼 誘는 본디 「좋은 뜻」을 가지고 있었지만 後에 고약한 사람들이 감언이설(減言利說)로 상대방을「꾀다」는 뜻으로 사용했다. 유괴(誘拐)․유인(誘引)․유혹(誘惑)이 그런 경우다.
  致는 본디 至(이를 지)와 (천천히걸을 쇠)의 結合으로 예물(禮物)을 바치기 위해 가는 것을 뜻했다. 따라서 어떤 目的地에 「닿다」「이르다」는 뜻을 갖고 있다. 치명상(致命傷)․치부(致富 )․극치(極致)․송치(送致)․초치(招致)가 있다.
  곧 誘致라면 誘導招致의 준말로 본디 「꾀어서 끌어오는 것」을 뜻한다. 물론 좋은 뜻이 아니었다. 곧 미끼를 던져 相對를 속여 들이는 것을 뜻했던 것이다. 대체로 敵軍을 誘引한다든지 怨讐를 꾀어 잡아들일 때 사용하던 말이었다. 그것이 지금은 좋은 뜻으로 사용돼 「권하여 끌어오는 것」으로 바뀌었다. 漢字에서 흔히 볼 수 있는 意味의 變質인 것이다. 지금 2002년 월드컵 開催地 決定에 따른 韓․日間의 誘致 競爭이 막바지에 이른 느낌이다.그동안 많은 勞力을 기울였던 만큼 꼭 우리나라로 誘致되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2 한자여행 이규 2012.10.28 5319
261 한자어의 짜임 - 술목, 술보관계 이규 2012.12.03 3937
260 廣 告 이규 2013.09.28 3701
259 屋上架屋 셀라비 2013.09.30 3211
258 婚 姻 이규 2013.10.08 2899
257 千里馬 셀라비 2014.01.15 2728
256 無用之用 셀라비 2014.10.21 2683
255 曲學阿世 이규 2013.10.10 2587
254 浩然之氣 셀라비 2013.10.02 2571
253 國 語 이규 2013.09.29 2478
252 한자어의 짜임 - 병렬관계 이규 2012.11.24 2440
251 結草報恩 셀라비 2014.12.06 2416
250 監 獄 이규 2013.09.02 2407
249 復 古 셀라비 2014.03.04 2394
248 裁 判 이규 2013.08.21 2392
247 幾 何 이규 2013.09.24 2350
246 古色蒼然 셀라비 2015.04.18 2340
245 兒 童 이규 2013.10.09 2335
244 欲速不達 이규 2013.09.13 2320
243 季布一諾 셀라비 2015.01.03 2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