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34
어제:
324
전체:
768,258

蜂 起

2013.06.05 21:33

이규 조회 수:1661

蜂벌봉
起일어날기


 성난 벌떼처럼 여기저기서 일어남

 


  蜂은 蟲(벌레 충)과 봉(마주칠 봉)의 結合이다. 山이 마주쳐 솟아 오른 것이 峰,길을 걷다가 마주치면 逢(만날 봉),쇠붙이(金,칼)끼리 마주치면 鋒(칼날 봉),불을 서로 마주쳐서 連絡을 취하는 것이 烽(봉화 봉)이다. 蜂은 벌레(昆蟲)가 마주치는(蜂)것으로 「벌」을 뜻한다. 벌이 워낙 奔走하게 날아 서로 부딪칠 것만 같다고 해 만든 글자다.
 起는 몸(己)이 달린다(走)는 뜻이다. 달리기 위해서는 먼저 일어나야 하지않을까. 그래서 「일어날 기」자가 된다.
  따라서 蜂起는 「벌이 일어나는 것」이 된다. 벌집을 잘못 건드리면 성난 벌이 떼를 지어 달려든다. 그야말로 벌떼같이 몰려와 쏜다. 따라서 蜂起라면 여기저기서 벌떼같이 일어나는 것을 뜻하게 되었다.
  진시황(秦始皇)이 죽고 아들 호해(胡亥)가 섰지만 포악과 사치는 오히려 아버지보다 한 술 더 떴다. 도저히 견딜 수 없었던 백성들이 여기 저기서 들고 일어났다. 사마천(司馬遷)은 그것을 「蜂起」로 표현했다. 마침내 진(秦)이망하고 마지막까지 남아 天下를 다루었던 자가 항우(項羽)와 유방(劉邦)이다. 그러니까 두 사람은 여왕벌이었던 셈이다. 마침내 劉邦이 이겨 나라를 세우니이것이 한(漢)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2 한자여행 이규 2012.10.28 5308
261 한자어의 짜임 - 술목, 술보관계 이규 2012.12.03 3926
260 廣 告 이규 2013.09.28 3693
259 屋上架屋 셀라비 2013.09.30 3207
258 婚 姻 이규 2013.10.08 2890
257 千里馬 셀라비 2014.01.15 2723
256 無用之用 셀라비 2014.10.21 2677
255 曲學阿世 이규 2013.10.10 2577
254 浩然之氣 셀라비 2013.10.02 2561
253 國 語 이규 2013.09.29 2477
252 한자어의 짜임 - 병렬관계 이규 2012.11.24 2436
251 結草報恩 셀라비 2014.12.06 2406
250 監 獄 이규 2013.09.02 2401
249 復 古 셀라비 2014.03.04 2385
248 裁 判 이규 2013.08.21 2384
247 幾 何 이규 2013.09.24 2344
246 古色蒼然 셀라비 2015.04.18 2335
245 兒 童 이규 2013.10.09 2324
244 欲速不達 이규 2013.09.13 2311
243 季布一諾 셀라비 2015.01.03 2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