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83
어제:
315
전체:
766,831

他山之石

2013.05.21 20:00

이규 조회 수:1530

他다를타
山뫼산
之갈지
石돌석

 

 남의 나쁜 행동을 보고 자신을 바로    세움


 聖人이나 偉人들을 통해 많은 敎訓을 얻을 수 있다. 그들의 좋은 점을 본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바르지 못한 사람을 통해서도 우리는 배울 수가있다. 그들의 나쁜 점을 보고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孔子는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세 사람이 걸어가면 그 중에는 반드시 내 스승이 될 만한 인물이있다」(三人行 必有我師).
 孔子 같은 聖人도 장삼이사(張三李四)로부터 배웠던 것이다. 비슷한 이야기가『詩經』에도 보인다. 他山之石 可以攻玉(타산지석 가이공옥,다른 산의 못생긴 돌이라도 구슬을 갈 수 있다). 하나의 구슬이 완성되기 위해서는 옥장(玉匠)의 정성과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먼저 거대한 原石을 정으로 쪼고 깨 다시 이것을 갈고 닦아서 빛을 내야 한다. 이때 필요한 것이 숫돌이다. 숫돌은 그저평범한 돌에 불과하다. 구슬로 구슬을 갈 수는 없지 않은가. 萬若 값어치 나가는 돌이라면 오히려 구슬을 가는데 이용할 수가 없다. 다시 말해 그것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보잘것 없는 돌이기 때문이다.
  老子나 莊子가 말한 無用之用인 셈이다. 그렇다. 비록 模範이 되지 않는 남의言行도 그것을 거울로 삼아 나를 바로 잡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他山之石이 그런 경우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 人 倫 이규 2013.07.29 2069
21 郊 外 이규 2013.07.28 2178
20 春困症 이규 2013.07.27 1921
19 家 庭 이규 2013.07.25 1909
18 誣 告 이규 2013.07.24 2010
17 歸 順 이규 2013.07.23 1929
16 快 擧 이규 2013.07.21 2038
15 嘗 糞 이규 2013.07.19 1823
14 黃 砂 이규 2013.07.18 1893
13 蹴 鞠 이규 2013.07.16 2102
12 不忍之心 이규 2013.07.13 1998
11 朝三募四 이규 2013.07.10 1831
10 董狐之筆 이규 2013.07.05 1892
9 遠交近攻 이규 2013.07.04 1886
8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2005
7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2107
6 한자어의 짜임 - 술목, 술보관계 이규 2012.12.03 3899
5 한자어의 짜임 - 주술 관계 이규 2012.11.26 2250
4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2050
3 한자어의 짜임 - 병렬관계 이규 2012.11.24 2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