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17
어제:
1,101
전체:
763,320

한자 한자여행

2012.10.28 09:59

이규 조회 수:5181

한자․한문 교육은 중국의 문자인 한자와 한자로 기록된 문장의 교육을 말한다.

한자․한문 교육은 한자 교육, 한자어 교육, 한문 교육으로 나누기도 하는데,

한자 교육은 낱자 하나하나의 음과 뜻에 대한 교육을 가리키고,

한자어 교육은 한자들이 모여서 이루어진 한자 어휘에 대한 교육을 뜻한다.

교과 교육으로서의 한자․한문 교육은 중학교에서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중학교에서는 한자, 한자어, 기초 한문 교육이 중심이 되고,

고등학교에서는 한문 교육이 중심이 된다. 초등학교에서도 재량 시간에 한자 교육을 하는 경우가 있다. 
한자는 지구상에 현존하는 유일한 표의 문자(表意文字)로 자형(字形)과 자음(字音),

그리고 자의(字意)면에서 독특한 구성 원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자의 구성 원리는 한자의 의미 분화와 결합을 신속하고 간결하게 실현할 수 있게 한다.

한문은 우리 국어의 조사나 어미와 같은 의존형태소(依存形態素)를 사용하지 않고도 성분간의 위치에 따라 그 문장 안에서의 문법적 기능을 나타낸다.

이러한 한자․한문의 구조나 특질면에서 볼 때, ‘한자→한자어→한문’의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학습 방법이 요구된다.
  한문은 우리 조상들이 우리의 전통 문화를 기록하는 도구로 사용하였던 한자로 이루어진 문자 언어이다.

한문은 삼국 시대 이전부터 이미 우리 나라에 전래되었으며,

한글이 창제된 후에도 오랫동안 정치, 사회, 문화, 교육 등 모든 방면의 공용 문자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 볼 때 한문은 오늘날의 외국어와는 그 성격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또 우리 민족이 한자 문화권에서 고립되지 않고 이들과 협력하며 세계의 문명 발전에 기여하고 문화적 동질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한자․한문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한자․한문 교육의 목표는 한자와 한자어를 익혀 현실적으로 언어 생활에 활용하는 것과

한문으로 기록된 우리의 문화 유산을 해독하고 이해하여 과거의 전통 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고 새로운 민족 문화를 꽃피우게 하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의 언어 생활에서 한자어의 비중은 절대적일만큼(한자어가 현재 국어 어휘의 70% 정도를 차지함) 우리의 현실적인 언어 생활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한자․한자어를 보다 체계적으로 학습함으로써 문장력, 낱말 풀이 능력, 조어력 등의 언어 기능을 향상시켜 국어 생활을 원만하게 영위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즉, 한문 교육을 통하여 전통 문화의 이해와 전승이라는 대내적․과거 전승적인 교육 효과와 원활한 언어 생활과 가치의 창조라는 현실적인 필요 및 국제화와 민족의 번영이라는 대외적․미래 지향적인 교육 효과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2 脾 肉 셀라비 2014.02.10 1618
141 雁 書 셀라비 2014.02.04 2063
140 逆 鱗 셀라비 2014.02.03 1709
139 累卵之危 LeeKyoo 2014.02.02 2159
138 面 目 셀라비 2014.01.30 1673
137 月旦評 셀라비 2014.01.27 1677
136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1945
135 遼東豕 셀라비 2014.01.23 1618
134 登龍門 lkplk@hitel.net 2014.01.22 1658
133 狼 藉 셀라비 2014.01.21 1607
132 千里眼 셀라비 2014.01.20 1743
131 從容有常 셀라비 2014.01.17 1749
130 千里馬 셀라비 2014.01.15 2594
129 換骨奪胎 셀라비 2014.01.13 1602
128 茶 禮 셀라비 2014.01.09 1642
127 連理枝 LeeKyoo 2014.01.06 1760
126 庭 訓 이규 2014.01.03 1687
125 逐 鹿 셀라비 2013.12.25 1695
124 蝴蝶夢 셀라비 2013.12.24 1778
123 解語花 셀라비 2013.12.23 1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