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25
어제:
1,101
전체:
763,328

우리말

2015.04.02 20:24

셀라비 조회 수:2108


본뜻:''은 칼을 뜻하는 ''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고려말까지 ''''는 화폐를

의미하는 뜻으로 나란히 쓰였고, 소리도 ''''으로 같이 쓰이다가 조선 시대에 한글이

창제된 후 ''으로 통일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학설로는 고려 시대에 ''가 무게의 단위 '돈쭝'으로 변용 되어 ''''으로

와전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이 밖에도 ''''에서 나온 것으로, 그 의미는 사회 정책상의 훈계가 포함된 것이라는

얘기도 있다 ''은 한 사람이 많이 가지게 되면 칼의 화를 입기 때문에 그것을 훈계하기

위해 ''''라 하고 그것을 ''으로 읽었다는 것이다 우리 나라 고대 무덤에서 출토되는

명도전 같은 화폐가 칼모양으로 생긴 것이 이 학설을 직접적으로 증명해 주는 것이라는 주장이다

아무튼 위의 세 학설 모두 ''이란 것이 쓰기에 따라서 사물을 자르고 재단하는 ''처럼

유용한 것인가 하면 생명을 죽이거나 상처 내는 ''처럼 무서운 것이기도 하다는 공통된 전언을

담고 있다


바뀐 뜻:상품 교환의 매개물로서 어떤 물건의 가치를 매기거나, 물건값을 치르는 도구로

사용하거나, 재산 축적의 지표로 삼기 위하여 금속이나 종이로 만들어져 사회에 유통되는

물건을 가리킨다


"보기글"

-돈이 많다고 해서 함부로 쓰다간 반드시 돈 때문에 우는 일이 생길 것이야

-돈 나고 사람 났냐? 사람 나고 돈 났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2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1961
201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1957
200 問 鼎 이규 2013.11.23 1957
199 改 閣 이규 2013.08.26 1950
198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1945
197 發祥地 이규 2013.10.20 1944
196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1944
195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1938
194 快 擧 이규 2013.07.21 1932
193 狐假虎威 이규 2013.10.11 1931
192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1929
191 賞 春 이규 2013.08.15 1927
190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1925
189 季札掛劍 셀라비 2014.12.28 1908
188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1906
187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1903
186 標 榜 이규 2013.08.10 1897
185 執牛耳 이규 2013.11.15 1893
184 誣 告 이규 2013.07.24 1892
183 知 音 셀라비 2014.03.24 18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