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60
어제:
1,101
전체:
763,563

한자 肝膽相照

2014.11.23 20:34

셀라비 조회 수:1537

간담상조 肝膽相照(肝 : 간 간․膽 : 쓸개 담)

 간과 쓸개를 내놓고 서로에게 내보인다.  서로 마음을 터놓고 친밀히 사귄다.

고사 : 唐나라 유종원(柳宗元;773~819, 字 : 子厚)이 유주자사(柳州刺史)로 임명 되었는데 그의 친구 유몽득(劉夢得)도 파주자사(播州刺史)로 가게 되었다. 유종원이 그것을 알고 울먹이면서 "파주는 몹시 궁벽한 변방인데 늙은 어머니를 모시고 갈 수도 없을 것이고 또한 그 사실을 어떻게 어머님께 알릴 수 있겠는가? 내가 간청하여 몽득 대신 파주로 가는 것이 좋겠다." 라고 말했다. 유종원이 죽은 후 한유(韓愈)가 그 우정에 감복하여 유종원의 묘지명을 썼는데 '사람이란 어려운 일을 당했을 때 참된 절의(節義)가 나타나는 것이다. 평소에는 서로 그리워하고 같이 술을 마시며 놀고 즐겁게 웃는데 마치 간담(肝膽)을 내보이는 것처럼 하고 죽는 한이 있어도 우정만은 변치 말자고 맹세한다. 그러나 이해관계가 있으면 눈을 돌려 모르는 듯한 얼굴을 한다…….' 라고 하였다.『柳子厚墓誌銘』

출전 : 韓愈柳子厚墓誌銘에 握手出肝膽하여 相示라하다.
** 韓(나라이름 한) 愈(나을 유) 厚(두터울 후) 誌(기록할 지) 銘(새길 명) 握(잡을 악)

☞지주사는 이렇게 겸사하면서도 이 어린 청년과 주객이 肝膽相照하게 된 것을 그리고 틈이 벌어가고 한 모퉁이가 이그러져 가는 이집을 바로 붙드는데 자기가 한 몫 거들어야 하게 된 것에 깊은 감격과 자랑을 느끼는 것이었다.(廉想涉, 三代)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2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1986
201 人 倫 이규 2013.07.29 1984
200 苦 杯 이규 2013.08.03 1983
199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1981
198 改 閣 이규 2013.08.26 1979
197 發祥地 이규 2013.10.20 1966
196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1964
195 狐假虎威 이규 2013.10.11 1958
194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1957
193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1955
192 快 擧 이규 2013.07.21 1954
191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1953
190 賞 春 이규 2013.08.15 1946
189 季札掛劍 셀라비 2014.12.28 1937
188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1934
187 誣 告 이규 2013.07.24 1929
186 執牛耳 이규 2013.11.15 1928
185 標 榜 이규 2013.08.10 1921
184 不忍之心 이규 2013.07.13 1918
183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1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