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13
어제:
1,186
전체:
764,502

한자 肝膽相照

2014.11.23 20:34

셀라비 조회 수:1553

간담상조 肝膽相照(肝 : 간 간․膽 : 쓸개 담)

 간과 쓸개를 내놓고 서로에게 내보인다.  서로 마음을 터놓고 친밀히 사귄다.

고사 : 唐나라 유종원(柳宗元;773~819, 字 : 子厚)이 유주자사(柳州刺史)로 임명 되었는데 그의 친구 유몽득(劉夢得)도 파주자사(播州刺史)로 가게 되었다. 유종원이 그것을 알고 울먹이면서 "파주는 몹시 궁벽한 변방인데 늙은 어머니를 모시고 갈 수도 없을 것이고 또한 그 사실을 어떻게 어머님께 알릴 수 있겠는가? 내가 간청하여 몽득 대신 파주로 가는 것이 좋겠다." 라고 말했다. 유종원이 죽은 후 한유(韓愈)가 그 우정에 감복하여 유종원의 묘지명을 썼는데 '사람이란 어려운 일을 당했을 때 참된 절의(節義)가 나타나는 것이다. 평소에는 서로 그리워하고 같이 술을 마시며 놀고 즐겁게 웃는데 마치 간담(肝膽)을 내보이는 것처럼 하고 죽는 한이 있어도 우정만은 변치 말자고 맹세한다. 그러나 이해관계가 있으면 눈을 돌려 모르는 듯한 얼굴을 한다…….' 라고 하였다.『柳子厚墓誌銘』

출전 : 韓愈柳子厚墓誌銘에 握手出肝膽하여 相示라하다.
** 韓(나라이름 한) 愈(나을 유) 厚(두터울 후) 誌(기록할 지) 銘(새길 명) 握(잡을 악)

☞지주사는 이렇게 겸사하면서도 이 어린 청년과 주객이 肝膽相照하게 된 것을 그리고 틈이 벌어가고 한 모퉁이가 이그러져 가는 이집을 바로 붙드는데 자기가 한 몫 거들어야 하게 된 것에 깊은 감격과 자랑을 느끼는 것이었다.(廉想涉, 三代)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2 茶 禮 셀라비 2014.01.09 1693
201 明 堂 셀라비 2014.04.15 1697
200 登龍門 lkplk@hitel.net 2014.01.22 1701
199 多岐亡羊 yikyoo 2014.06.09 1702
198 關 係 LeeKyoo 2013.12.22 1711
197 鷄 肋 이규 2014.05.15 1711
196 斷 機 셀라비 2014.02.18 1712
195 旱 魃 셀라비 2014.04.04 1719
194 乞骸骨 셀라비 2014.05.12 1721
193 月旦評 셀라비 2014.01.27 1726
192 娑 魚 셀라비 2014.06.03 1727
191 面 目 셀라비 2014.01.30 1730
190 狡 猾 셀라비 2014.03.13 1732
189 Ⅰ. 한자어의 이해 이규 2012.11.23 1733
188 義 擧 이규 2013.10.21 1733
187 苛斂誅求 이규 2013.10.21 1736
186 得壟望蜀 셀라비 2014.07.14 1736
185 餓 鬼 셀라비 2013.12.17 1738
184 西 洋 셀라비 2014.03.02 1738
183 庭 訓 이규 2014.01.03 1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