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91
어제:
257
전체:
762,393

한자 無用之用

2014.10.21 21:17

셀라비 조회 수:2522

無用之用

없을

세상에 쓰여지지 않는 것이 도리어

크게 쓰여짐

莊子 人間世篇隱士 광접여(狂接輿)孔子에 대해 하면서, “산 속의 나무는 有用하기에 伐採되어 自身怨讐가 되고, 기름은 밝은 빛을 내기에 태워져 自身을 태우며, 육계(肉桂)食料가 되고 옻은 도료(塗料)가 되기에 베어진다. 有用만 알고, 無用은 알려고 하지 않으니 서글픈 일이다고 하였다. 이 말은 孔子仁義로써 亂世를 다스리려는 것을 풍자(諷刺)한 것으로, 조그만 有用은 오히려 自身을 망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莊子가 말하였다. “땅이란 사람이 서있기 위하여 발을 들여 놓을 정도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딛고 있는 땅을 除外한 나머지를 나락(奈落-지옥)까지 팠다고 해보자. 그래도 발 밑 땅만이 有用하다고 하겠는가?”

弟子가 여행을 하다가 가지가 울창한 나무를 보았다. 나뭇꾼이 손도 되지 않았다. 이유를 물으니 莊子가 답했다.

이 나무는 아무 쓸모가 없었기에 天壽를 다할 수 있었던 게지.”

선생님은 有用한 것과 無用한 것 중 어느 쪽을 택하시렵니까?”

有用, 無用中間이라 할까? 世界稱讚도 욕도 먹지 않고 順應하여 다투지 않고 사는 것, 統制하더라도 制御되지 않는 것, 그러면 아무 도 끼치지 않을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2 糟糠之妻 셀라비 2014.10.14 1352
221 日暮途遠 셀라비 2014.10.11 1313
220 首鼠兩端 셀라비 2014.09.29 1554
219 白 眉 셀라비 2014.09.26 1356
218 武陵桃源 셀라비 2014.09.25 1301
217 彌縫策 셀라비 2014.09.23 1759
216 古 稀 셀라비 2014.09.22 1380
215 牛刀割鷄 셀라비 2014.09.21 1721
214 採薇歌 셀라비 2014.09.14 1768
213 鐵面皮 셀라비 2014.09.12 1406
212 靑出於藍 셀라비 2014.09.01 1771
211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1898
210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360
209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414
208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475
207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1762
206 矛 盾 셀라비 2014.08.19 1461
205 麥秀之嘆 셀라비 2014.08.17 1805
204 泰山北斗 셀라비 2014.08.16 1704
203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