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76
어제:
324
전체:
768,200

한자 牛刀割鷄

2014.09.21 16:06

셀라비 조회 수:1885

牛刀割鷄

나눌

닭 잡는데에 소의 칼을 씀

孔子平素治國要諦로써 强調한 바 있다. 한 번은 弟子 자유(子遊)가 다스리고 있는 무성(武城) 땅을 지나게 되었다. 거리에선 거문고와 비파 소리가 들려오며, 그 소리에 맞추어 詩書를 읊조리는 소리가 들려왔다. 孔子弟子이 되어 다스리는 이 고을에서 현가(絃歌) 소리를 듣고, 平素의 가르침이 實現되는 것을 보고 기쁘게 여기면서 弄談을 섞어 한마디 했다.

자유(子遊), 무성(武城)같은 작은 고을을 다스리는데 그리 虛風스럽게 현가(絃歌)같은 것을 가르칠 필요가 뭐 있느냐? 닭을 잡는데 소를 잡는 큰 칼을 쓰지 않아도 될텐데.”

저는 선생님으로부터 사람위에 서서 百姓을 다스리는 禮樂을 배움으로써 百姓을 사랑하게 되고, 또한 百姓禮樂을 배움으로써 溫柔하게 되어 잘다스러지며, 禮樂의 길은 上下간에 重要하다고 배워, 오직 이 가르침을 따랐을 뿐이옵니다.”

孔子가 가벼운 弄談으로 한 말을 弟子 자유(子遊)陳情으로 받아 들이는 눈치를 보고, 孔子는 자신의 말을 後悔했다.

牛刀割鷄는 작은 일을 圖謨하는데 格式에 맞지않게 일을 크게 벌리는 境遇라 할 수 있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2 紅 塵 셀라비 2014.03.09 1876
121 從容有常 셀라비 2014.01.17 1875
120 雙 喜 셀라비 2014.02.16 1871
119 尋 常 셀라비 2013.12.18 1866
118 蛇 足 셀라비 2014.10.24 1864
117 佳人薄命 셀라비 2014.11.18 1863
116 咫 尺 LeeKyoo 2013.12.15 1862
115 千里眼 셀라비 2014.01.20 1860
114 塗炭之苦 yikyoo 2014.05.29 1859
113 連理枝 LeeKyoo 2014.01.06 1859
112 泰山北斗 셀라비 2014.08.16 1858
111 詭 辯 이규 2013.09.14 1858
110 非 理 이규 2013.09.26 1854
109 朝 野 이규 2013.08.14 1850
108 氷上人 이규 2013.08.23 1849
107 朝三募四 이규 2013.07.10 1849
106 洞 房 셀라비 2014.07.02 1845
105 門前成市 이규 2013.11.25 1844
104 玉 石 LeeKyoo 2014.02.12 1843
103 隔靴搔痒 셀라비 2014.12.02 1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