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81
어제:
783
전체:
770,041

한자 採薇歌

2014.09.14 17:20

셀라비 조회 수:1970

採薇歌

고비

노래

 

고비를 캐는 노래.

節義之士의 노래

 

周 武王 , 백이(伯夷)와 숙제(叔齊)가 있었다. 이들은 고죽군(孤竹君)의 아들이다. 孤竹君叔帝에게 王位를 주려 했으나, 叔齊을 제치고 아버지의 뒤를 잇는다는 것은 에 어긋난다하여 에게 辭讓하였고, 은 또 先親遺志에 어긋나는 일은 할 수 없다 하여 辭讓하였다. 그리고는 避身하니 叔齊도 형의 뒤를 따라 나라를 떠났다. 이들은 仁德으로 이름 높은 周文王을 찾아갔으나 이미 作故였다.

그 때 文王의 뒤를 이은 武王紂王을 치려고 軍士를 일으켰다. 이를 보고 伯夷, 叔齊出戰하는 武王의 말고삐를 잡고 하였다. 父王이 돌아가신지 얼마되지 않은 지금 시점에서 祭祀를 지내지 않고 戰陣에 나가는 것의 不孝이며, 또한 紂王은 당신의 主君인데 임금을 죽임은 이 아니라고 만류(挽留)하였다. 그러나 武王大軍을 끌고 나가 을 무찔렀다.

이에 伯夷, 叔齊에 살면서 穀食을 먹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 하고 수양산에 들어가 고비()를 뜯어 먹으며 延命했다. 굶어 죽을 무렵 다음과 같은 노래를 지어 불렀다.

저 서산에 오름이여 고비를 뜯음이로다.

사나이로서 사나움을 바꿈이여 그 비()를 모르는구나.

신농(神農), (), ()가 홀연히 몰함이여 나는 어디로 갈꼬.

, 슬프다 가련다 목숨이 쇠하였구나.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2 破 綻 셀라비 2014.02.28 1941
141 董狐之筆 이규 2013.07.05 1936
140 蝴蝶夢 셀라비 2013.12.24 1935
139 牛刀割鷄 셀라비 2014.09.21 1933
138 問 津 이규 2013.10.25 1933
137 會 計 이규 2013.08.05 1932
136 動 亂 이규 2013.09.16 1931
135 火 箭 이규 2013.08.20 1928
134 馬耳東風 셀라비 2014.06.22 1926
133 遠交近攻 이규 2013.07.04 1925
132 獨 對 이규 2013.12.08 1924
131 豈有此理 이규 2013.10.31 1922
130 傾國之色 셀라비 2014.05.14 1918
129 一場春夢 이규 2013.10.15 1917
128 富 貴 셀라비 2014.06.16 1915
127 貢 獻 이규 2013.11.16 1915
126 天安門 이규 2013.09.22 1913
125 季布一諾 셀라비 2014.05.24 1912
124 箴 言 이규 2013.10.19 1909
123 從容有常 셀라비 2014.01.17 1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