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30
어제:
783
전체:
770,090

한자 泰山北斗

2014.08.16 20:18

셀라비 조회 수:1895

泰山北斗

북녘

泰山과 북두칠성을 우러러 보는

것처럼 사람을 존경함

唐宋八大家의 제1인자이며 4詩人(李太白, 杜甫, 白樂天과 함께) 중의 한 사람인 한유(韓愈)를 두고 이른 데서 말이다.

韓愈는 두살 때 孤兒가 되었으나 刻苦勞力 끝에 25세에 進士, 다시 감찰어사(監察御使), 중서사인(中書舍人), 이부시랑(吏部侍郞)을 거쳐 경조윤(京兆尹) 겸 어사대부(御使大部)에 까지 이르렀다. 그가 죽은 後 朝廷에서는 예부상서(禮部尙書)를 증()하고 시호(諡號)를 문()이라 하였다.

그가 官職在任시에는 宮中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弊端上訴하여 皇帝의 노여움을 사기도 하였다. 논불골표(論佛骨表)라 하여, 皇帝佛敎深醉하여 宮中내에서 佛供을 드리고, 地方 寺刹에 글을 보낸 사건이 있었는데, 韓愈皇帝의 이러한 일을 問題삼아 하였다.

佛敎邪敎이며, 佛骨같은 것은 水火에 던져 버려야 합니다.” 이러한 韓愈上訴憤怒皇帝는 그를 결국 귀양보내고 만다.

韓愈文章模範을 앞선 에서 구하고, 六朝 이래의 四六 변려(변려)의 숙폐(宿弊)打破하려 하였다. [唐書] 韓愈傳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이 일어난 이래 韓愈는 육경(, , , 春秋, 禮記, 樂記)의 글을 가지고 모든 學者들의 導師가 되었다. 그의 死後 이 점점 隆盛하여 學者들은 그를 泰山北斗를 우러러 보는 것같이 尊敬하였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2 紅 塵 셀라비 2014.03.09 1907
121 雙 喜 셀라비 2014.02.16 1907
120 蛇 足 셀라비 2014.10.24 1906
119 角 逐 셀라비 2013.11.14 1906
118 佳人薄命 셀라비 2014.11.18 1904
117 咫 尺 LeeKyoo 2013.12.15 1898
116 千里眼 셀라비 2014.01.20 1897
» 泰山北斗 셀라비 2014.08.16 1895
114 尋 常 셀라비 2013.12.18 1895
113 塗炭之苦 yikyoo 2014.05.29 1893
112 非 理 이규 2013.09.26 1893
111 秀 才 셀라비 2014.03.19 1890
110 朝三募四 이규 2013.07.10 1888
109 朝 野 이규 2013.08.14 1885
108 隔靴搔痒 셀라비 2014.12.02 1881
107 詭 辯 이규 2013.09.14 1880
106 格物致知 셀라비 2014.12.01 1879
105 連理枝 LeeKyoo 2014.01.06 1879
104 洞 房 셀라비 2014.07.02 1878
103 門前成市 이규 2013.11.25 18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