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61
어제:
1,070
전체:
757,480

한자 杜 撰

2014.07.10 20:27

셀라비 조회 수:1486

杜 撰

막을

지을

 

 

저술에 출처가 확실하지 않은

문자를 쓰거나 오류가 많음을 지칭

 

 

[야객총서(野客叢書)]에 다음의 이야기가 전한다. 두묵(杜黙)이라는 사람이 어느 날 좋은 詩想이 떠오르기에 紙筆을 꺼내어 를 한 수 지었는데, 韻律이 맞지 않는데가 여러 군데 있었다. 이 일로 인하여 일을 함에 있어 에 잘맞지 않는 것을 두찬(杜撰)’이라 일컫게 되었다 (著作이란 뜻).

通俗篇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도장(道藏-불교의 대장경) 5천여 권은 도덕경(道德經) 두 권만 眞本이고, 나머지는 모두 道士 두광정(杜光庭)著述한 것이다. 그러므로 그후부터 僞作(다른 사람이 그 작자가 만든 것처럼 본떠서 비슷하게 만듦)두찬(杜撰)’이라 부르게 되었다.

나라 서위(徐渭)의 시화(詩話) 청등산인노사(靑藤山人路史)에 도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라는 글자의 은 본디 와 같은데, 後代대신 를 쓰게 되었다. 지금은 오직 하나만 알고 全體的인 것을 알지 못하는 것을 토기(土氣)라고 하는데, 이것이 바로 이다.

이상의 資料에서 본 바와 같이 杜撰이란 말이 상당한 慣用語임을 알 수 있다. 漢字의 본디 뜻과는 많이 벗어나서 쓰이는 말이라 하겠다. 글을 쓸때에는 杜撰에서 벗어나 引用出處著述出處를 반드시 밝혀야 하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2 塗炭之苦 yikyoo 2014.05.29 1617
101 苛斂誅求 이규 2013.10.21 1617
100 隔靴搔痒 셀라비 2014.12.02 1616
99 逐 鹿 셀라비 2013.12.25 1616
98 諮 問 이규 2013.07.31 1616
97 玉 石 LeeKyoo 2014.02.12 1615
96 餓 鬼 셀라비 2013.12.17 1613
95 鼓 舞 이규 2013.11.01 1612
94 門前成市 이규 2013.11.25 1611
93 雙 喜 셀라비 2014.02.16 1610
92 猖 獗 이규 2013.11.06 1608
91 傍若無人 셀라비 2013.11.26 1607
90 鼎 革 이규 2013.12.09 1606
89 佳人薄命 셀라비 2014.11.18 1605
88 逆 鱗 셀라비 2014.02.03 1605
87 格物致知 셀라비 2014.12.01 1603
86 身土不二 이규 2013.11.04 1603
85 鍛 鍊 셀라비 2013.12.12 1601
84 解語花 셀라비 2013.12.23 1599
83 義 擧 이규 2013.10.21 1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