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23
어제:
284
전체:
767,341

한자 道聽塗說

2014.06.25 20:51

셀라비 조회 수:1755

道聽塗說

들을

진흙

말씀

길거리에 퍼져 돌아다니는 뜬 소문

孔子[論語] 陽貨篇에서 말하기를, “먼저 길에서 들은 좋은 말{道聽}을 마음에 담아 두어 自己 修養樣式으로 삼지 않고, 다음 길에서 곧 남에게 일러 들리는{塗說} 것은 자기에게서 그 을 버리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선한 말{善言}은 모두 마음에 잘 간직하여 나의 것으로 삼지 않으면 을 쌓을 수 없다.” 고 하였다.

筍子가 쓴 [筍子] 勸學篇에는, “小人學文은 귀로 들어가 곧 입으로 흘러 나오고(口耳之學), 조금도 마음 속에 남아 있지 아니한다. 귀와 입사이는 약 네 치이지만 이만한 거리로서 어찌 7척의 身體를 아름답게 할 수 있으랴. 옛날에 學文을 한 사람은 자기를 위해 했으나 요새 사람은 배운 바를 곧 남에게 하고, 자기를 위해 하려하지 않는다.

君子自身을 아름답게 하는데, 小人輩은 사람을 動物로 만든다. 그러므로 묻지 않아도 한다. 이를 시끄러운 것이라 하며, 하나를 묻는데, 둘을 말하는 것을 饒說(수다쟁이)이라 한다. 둘 다 좋지 못하다. 참된 君子는 묻지 않으면 對答하지 않고, 물으면 그것 만을 對答한다..“고 하여 多辯訓戒하였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2 季布一諾 셀라비 2015.01.03 2276
241 鷄肋 셀라비 2014.12.17 2272
240 井底之蛙 이규 2013.10.05 2272
239 改 革 이규 2013.09.19 2268
238 鷄鳴拘吠 셀라비 2014.12.25 2267
237 契酒生面 셀라비 2014.12.18 2267
236 한자어의 짜임 - 주술 관계 이규 2012.11.26 2265
235 駭怪罔測 셀라비 2013.08.04 2260
234 傾國之色 셀라비 2014.12.09 2240
233 舊 臘 이규 2013.08.16 2211
232 總 統 이규 2013.08.19 2206
231 郊 外 이규 2013.07.28 2186
230 雁 書 셀라비 2014.02.04 2182
229 包靑天 이규 2013.09.15 2178
228 經世濟民 LeeKyoo 2014.12.12 2168
227 百 姓 이규 2013.10.06 2165
226 敎 育 이규 2013.09.23 2152
225 臨 終 이규 2013.08.01 2152
224 渴而穿井 셀라비 2014.11.24 2148
223 股肱之臣 이규 2015.01.12 2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