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84
어제:
306
전체:
766,212

한자 道聽塗說

2014.06.25 20:51

셀라비 조회 수:1735

道聽塗說

들을

진흙

말씀

길거리에 퍼져 돌아다니는 뜬 소문

孔子[論語] 陽貨篇에서 말하기를, “먼저 길에서 들은 좋은 말{道聽}을 마음에 담아 두어 自己 修養樣式으로 삼지 않고, 다음 길에서 곧 남에게 일러 들리는{塗說} 것은 자기에게서 그 을 버리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선한 말{善言}은 모두 마음에 잘 간직하여 나의 것으로 삼지 않으면 을 쌓을 수 없다.” 고 하였다.

筍子가 쓴 [筍子] 勸學篇에는, “小人學文은 귀로 들어가 곧 입으로 흘러 나오고(口耳之學), 조금도 마음 속에 남아 있지 아니한다. 귀와 입사이는 약 네 치이지만 이만한 거리로서 어찌 7척의 身體를 아름답게 할 수 있으랴. 옛날에 學文을 한 사람은 자기를 위해 했으나 요새 사람은 배운 바를 곧 남에게 하고, 자기를 위해 하려하지 않는다.

君子自身을 아름답게 하는데, 小人輩은 사람을 動物로 만든다. 그러므로 묻지 않아도 한다. 이를 시끄러운 것이라 하며, 하나를 묻는데, 둘을 말하는 것을 饒說(수다쟁이)이라 한다. 둘 다 좋지 못하다. 참된 君子는 묻지 않으면 對答하지 않고, 물으면 그것 만을 對答한다..“고 하여 多辯訓戒하였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 肝膽相照 [1] 셀라비 2014.11.23 1598
21 杞 憂 셀라비 2014.06.05 1592
20 乾木水生 셀라비 2014.11.30 1590
19 矛 盾 셀라비 2014.08.19 1572
18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561
17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536
16 鐵面皮 셀라비 2014.09.12 1526
15 三十六計 셀라비 2014.10.30 1521
14 刻骨難忘 [1] 셀라비 2014.11.19 1492
13 苛政猛於虎 셀라비 2014.05.03 1488
12 刻舟求劍 셀라비 2014.11.21 1478
11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477
10 未亡人 셀라비 2014.10.29 1472
9 白 眉 셀라비 2014.09.26 1469
8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468
7 糟糠之妻 셀라비 2014.10.14 1455
6 古 稀 셀라비 2014.09.22 1453
5 乾坤一擲 셀라비 2014.11.29 1449
4 三人成虎 셀라비 2014.10.28 1439
3 日暮途遠 셀라비 2014.10.11 1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