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61
어제:
324
전체:
768,285

君子三樂

2013.04.23 21:24

이규 조회 수:1738


君임금군
子아들자
三셋삼
樂즐거울락

 

 君子의 세가지 즐거움


  尹東柱의 [序詩]에 보면 이런 句節이 나온다.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  우리 祖上들은 하늘을 그야말로 ‘하늘’처럼 섬기며 살아왔다. 그런 ‘하늘’에 한 점 부끄럼도 없다면 그 사람은 純眞無垢한 삶을 살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말이 孟子에서 나왔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그는 歷代 聖人중 누구보다도 修養을 强調했던 사람이다.  그의 性善說도 이와 無關하지 않다.  그는 修養을 거쳐 쓸모있는 人才가 된 사람을 君子라고 했다.  곧 君子란 ‘人格과 修養을 갖춘 人才’, 지금 말로 하면 敎養, 知識 그리고 能力을 兼備한 知性人인 셈이다.
  그런데 그는 君子로서 지니는 세가지 즐거움이 있다고 했다.  첫째가 父母가 다 계시고 兄弟가 無故한 것{父母俱存, 兄弟無故}이며, 둘째가 우러러 보아 하늘에 부끄럽지 않고, 굽어 보아 사람에게 부끄럽지 않은 것{仰不愧於天, 俯不작於人}, 세째가 天下의 英才들을 모아 가르치는 것{得天下之英才而敎育之}이다.
  이를 보면 사람의 幸福은 世俗的인 名譽나 富貴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도 든다.  重要한 것은 두번째의 즐거움이다.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럽지 않은’ 君子가 切實히 要求되는 요즈음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 邯鄲之夢 셀라비 2013.10.01 2158
41 政經癒着 이규 2013.09.05 2162
40 臨 終 이규 2013.08.01 2170
39 渴而穿井 셀라비 2014.11.24 2170
38 敎 育 이규 2013.09.23 2173
37 股肱之臣 이규 2015.01.12 2173
36 百 姓 이규 2013.10.06 2188
35 包靑天 이규 2013.09.15 2193
34 經世濟民 LeeKyoo 2014.12.12 2193
33 雁 書 셀라비 2014.02.04 2194
32 郊 外 이규 2013.07.28 2203
31 總 統 이규 2013.08.19 2226
30 舊 臘 이규 2013.08.16 2228
29 傾國之色 셀라비 2014.12.09 2261
28 駭怪罔測 셀라비 2013.08.04 2273
27 한자어의 짜임 - 주술 관계 이규 2012.11.26 2284
26 改 革 이규 2013.09.19 2285
25 井底之蛙 이규 2013.10.05 2285
24 鷄鳴拘吠 셀라비 2014.12.25 2287
23 鷄肋 셀라비 2014.12.17 2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