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33
어제:
249
전체:
760,616

簞食瓢飮

2013.04.17 20:30

이규 조회 수:1467

簞도시락단
食밥사
瓢표주박표
飮마실음

 

 구차하고 보잘 것 없는 음식


  簞은 본디 대나무(竹)로 엉성하게(單) 얽은 작은 소쿠리를 뜻하며, 食는 破音字로 ‘먹다’일 때는 ‘식’, ‘밥’일 때는 ‘사’로 發音한다.  따라서 簞食瓢飮은 ‘도시락 밥과 표주박 속의 국’으로 구차하고 보잘 것 없는 飮食을 뜻한다.  줄여서 簞瓢라고 한다.
  孔子는 一生동안 무려 3천명의 弟子를 두었는데 그증 가장 寵愛했던 弟子는 顔回(일명 顔淵)였다.  首弟子중의 首弟子였던 셈이다.  그는 하나를 들으면 열을 깨우쳤으며 워낙 학문을 좋아해 나이 29세에 벌써 白髮이 되었다고 한다.  또한 德行이 뛰어나 스승인 孔子 자신도 때로 그로 부터 배울 정도였다고 한다.  그러나 造物主는 그에게 뛰어난 才能과 함께 家難을 안겨 주었다.
  그는 찢어지게 家難해 끼니 거르기를 밥먹듯 했으며 平生 지게미 조차 배물리 먹어본 조차 없을 정도였다.  그 뿐인가.  나이 서른 하나에 夭折하고 말았으니 孔子가 오죽했으면 그의 죽음을 두고 ‘하늘 탓’이라고 恨歎했을까.  그러나 그는 家難을 運命인양 받아들이고 늘 樂天的으로 살았으며 德 닦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래서 孔子는 그를 讚嘆해마지 않았다.
  “장하구나 顔回여!  簞食瓢飮과 누추한 뒷골목에 살면서도 不平이 없구나.  그럼에도 聖人의 道를 追求하기 餘念이 없으니 이 얼마나 장한가.”
  물론 지금 顔回와 같은 삶을 要求할 수는 없다.  그러나 衣食住가 解決된 지금 과연 正道를 걷고 있는 者가 얼마나 되는지 생각해 볼 일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2 古色蒼然 셀라비 2015.04.18 2139
261 鼓腹擊壤 이규 2015.04.13 1801
260 孤立無援 셀라비 2015.04.12 1809
259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1873
258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1901
257 股肱之臣 이규 2015.01.12 1954
256 季布一諾 셀라비 2015.01.03 2115
255 季札掛劍 셀라비 2014.12.28 1846
254 鷄鳴拘吠 셀라비 2014.12.25 2087
253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1916
252 契酒生面 셀라비 2014.12.18 2082
251 鷄肋 셀라비 2014.12.17 2118
250 鷄卵有骨 셀라비 2014.12.14 1969
249 經世濟民 LeeKyoo 2014.12.12 1964
248 傾國之色 셀라비 2014.12.09 2043
247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1940
246 結草報恩 셀라비 2014.12.06 2219
245 結者解之 셀라비 2014.12.05 1744
244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1901
243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1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