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72
어제:
264
전체:
768,560

膺懲

2013.02.18 21:06

이규 조회 수:1691


膺칠응
懲징계할징


 膺懲=못된 자를 치는 것

 


  膺은 膺(응)의 變形된 글자이다.  膺은 ‘매’를 意味한다.  매가 새의 살(肉-月)을 마구 쪼아 먹는 것이 膺으로 ‘공격하다’, ‘치다’는 뜻이다.  懲은 徵과 心의 結合인데 徵에는 ‘거두다’는 뜻(徵收, 徵發, 追徵)외에 ‘徵驗’, ‘效驗’의 뜻도 있으므로 懲은 ‘마음’으로 相對의 잘못을 바로 잡는다는 뜻이다.  그래서 ‘꾸짖다’가 된다.  懲戒, 懲役, 勸善懲惡이 있다.  그러니까 膺懲은 相對方을 ‘쳐서 꾸짖는 것’이 아닐까.  본디 異民族을 쳐서 잘못을 悔改토록 하는 것을 뜻한다.
  中國은 일찍부터 中華思想에 젖어 바깥은 모두 오랑캐로 보았다.  그래서 所謂 동이(東夷), 서융(西戎), 남만(南蠻), 북적(北狄)이라는 四夷觀이 나타나는데 이 때문에 우리나라도 東夷가 되고 말았다.  이런 고약한 생각은 孟子같은 聖人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그 尺度가 種族이 아닌 文化에 있었던만큼 一端 中國의 文化를 받아들이면 같은 中華로 格上시켜(?) 주었다.
  그러나 끝까지 中國의 文化를 拒否하면 武力으로 쳤는데 그것이 바로 ‘膺懲’이었다.  곧 膺懲은 본디 野蠻人을 罰주는 한 方法이었던 것이 지금에 와서는 ‘못된 者를 치는 것’을 뜻하게 된 것이다.  北韓의 터무니 없는 挑發에 膺懲의 목소리가 높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2 古色蒼然 셀라비 2015.04.18 2341
261 鼓腹擊壤 이규 2015.04.13 2020
260 孤立無援 셀라비 2015.04.12 2000
259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2132
258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2095
257 股肱之臣 이규 2015.01.12 2182
256 季布一諾 셀라비 2015.01.03 2308
255 季札掛劍 셀라비 2014.12.28 2048
254 鷄鳴拘吠 셀라비 2014.12.25 2295
253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2145
252 契酒生面 셀라비 2014.12.18 2307
251 鷄肋 셀라비 2014.12.17 2295
250 鷄卵有骨 셀라비 2014.12.14 2157
249 經世濟民 LeeKyoo 2014.12.12 2200
248 傾國之色 셀라비 2014.12.09 2266
247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2125
246 結草報恩 셀라비 2014.12.06 2419
245 結者解之 셀라비 2014.12.05 1964
244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2126
243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2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