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525
어제:
1,101
전체:
763,028

膺懲

2013.02.18 21:06

이규 조회 수:1586


膺칠응
懲징계할징


 膺懲=못된 자를 치는 것

 


  膺은 膺(응)의 變形된 글자이다.  膺은 ‘매’를 意味한다.  매가 새의 살(肉-月)을 마구 쪼아 먹는 것이 膺으로 ‘공격하다’, ‘치다’는 뜻이다.  懲은 徵과 心의 結合인데 徵에는 ‘거두다’는 뜻(徵收, 徵發, 追徵)외에 ‘徵驗’, ‘效驗’의 뜻도 있으므로 懲은 ‘마음’으로 相對의 잘못을 바로 잡는다는 뜻이다.  그래서 ‘꾸짖다’가 된다.  懲戒, 懲役, 勸善懲惡이 있다.  그러니까 膺懲은 相對方을 ‘쳐서 꾸짖는 것’이 아닐까.  본디 異民族을 쳐서 잘못을 悔改토록 하는 것을 뜻한다.
  中國은 일찍부터 中華思想에 젖어 바깥은 모두 오랑캐로 보았다.  그래서 所謂 동이(東夷), 서융(西戎), 남만(南蠻), 북적(北狄)이라는 四夷觀이 나타나는데 이 때문에 우리나라도 東夷가 되고 말았다.  이런 고약한 생각은 孟子같은 聖人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그 尺度가 種族이 아닌 文化에 있었던만큼 一端 中國의 文化를 받아들이면 같은 中華로 格上시켜(?) 주었다.
  그러나 끝까지 中國의 文化를 拒否하면 武力으로 쳤는데 그것이 바로 ‘膺懲’이었다.  곧 膺懲은 본디 野蠻人을 罰주는 한 方法이었던 것이 지금에 와서는 ‘못된 者를 치는 것’을 뜻하게 된 것이다.  北韓의 터무니 없는 挑發에 膺懲의 목소리가 높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2 한자여행 이규 2012.10.28 5179
261 한자어의 짜임 - 술목, 술보관계 이규 2012.12.03 3776
260 廣 告 이규 2013.09.28 3554
259 屋上架屋 셀라비 2013.09.30 3074
258 婚 姻 이규 2013.10.08 2726
257 千里馬 셀라비 2014.01.15 2590
256 無用之用 셀라비 2014.10.21 2552
255 曲學阿世 이규 2013.10.10 2425
254 浩然之氣 셀라비 2013.10.02 2424
253 國 語 이규 2013.09.29 2349
252 한자어의 짜임 - 병렬관계 이규 2012.11.24 2303
251 結草報恩 셀라비 2014.12.06 2281
250 監 獄 이규 2013.09.02 2255
249 裁 判 이규 2013.08.21 2255
248 復 古 셀라비 2014.03.04 2246
247 幾 何 이규 2013.09.24 2214
246 古色蒼然 셀라비 2015.04.18 2208
245 兒 童 이규 2013.10.09 2190
244 欲速不達 이규 2013.09.13 2175
243 鷄肋 셀라비 2014.12.17 2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