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65
어제:
324
전체:
768,189

한자 口舌數

2014.03.14 20:55

셀라비 조회 수:1752

口舌數

 

말을 잘못해 곤욕에 빠짐

 

中國 사람들 만큼 말을 重視했던 民族도 드물다. 不朽方法중에 말을 세우는 것(立言)이 있을 정도다. 그래서 聖人들은 누구나 立言을 위해 勞力했다. 과연論語를 펴보면 첫머리부터이 나온다. 孔子께서 말씀하시기를…』(子曰).

中國에서 말은 富貴榮華生死與奪決定할 만큼 엄청난 威力을 지니고 있었다. 사실 諸子百家遊說말의 성찬(盛饌)에 지나지 않는다. 말과 함께 重視되었던 것이 세치 혀(三寸舌). 張儀는 세치 혀로 一躍 出世를 할 수 있었지만, 司馬遷은 혀를 잘못 놀려 宮刑恥辱을 맛보아야 했고, 韓非子는 혀가 敏捷하지 못해 死藥을 받고 죽었다. 말은 듣는 것보다 하는 것이 더 重要함을 일깨워 준다.

말을 잘못해 困辱을 당하는 運數口舌數. 周易에서 兌卦(태괘)口舌女子同時에 뜻한다. 예나 지금이나 아무래도 수다스러운 것은 女子였던 模樣이다. 특히 女子가 말이 많은 것은 禁物七出(七去之惡)의 하나가 되기도했다. 男子境遇도 마찬가지다. 男兒一言 重千金이란 말이 있다. 적어도 男子의 한 마디 말은 千金의 무게와 價値를 지녀야 한다는 뜻일 게다. 社會 指導層이거나 公人位置에 있다면 더 말할 나위가 없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2 肝膽相照 이규 2013.11.12 2151
101 乾坤一擲 이규 2013.11.10 1829
100 痼 疾 이규 2013.11.07 1841
99 猖 獗 이규 2013.11.06 1809
98 物 色 이규 2013.11.05 1840
97 身土不二 이규 2013.11.04 1793
96 雲 雨 셀라비 2013.11.02 1682
95 鼓 舞 이규 2013.11.01 1824
94 豈有此理 이규 2013.10.31 1891
93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2026
92 洛陽紙貴 셀라비 2013.10.29 1803
91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2105
90 信賞必罰 셀라비 2013.10.27 2140
89 問 津 이규 2013.10.25 1908
88 效 嚬 셀라비 2013.10.24 1921
87 大器晩成 이규 2013.10.22 1986
86 義 擧 이규 2013.10.21 1795
85 苛斂誅求 이규 2013.10.21 1795
84 街談港說 셀라비 2013.10.20 1699
83 發祥地 이규 2013.10.20 2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