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104
어제:
1,186
전체:
764,793

吳越同舟

2013.01.19 22:46

이규 조회 수:1163

 

吳오나라 오
越월나라 월
同같을 동
舟배 주

 

吳越同舟-앙숙이 같은 목적을 위해 잠시 힘을 함침


[孫子兵法]은 하나같이 정곡(正鵠)을 찌르는 名文章으로 이루어졌다.  論理性과 치밀(緻密)함은 兵書의 압권(壓卷)으로 遜色이 없다.  때문에 지금까지도 不朽의 名作으로 읽히고 있다.  여기에 보면 ‘솔연(率然)’의 이야기가 나온다.
  率然은 회계(會稽)의 常山에 사는 거대한 뱀인데 이 놈은 머리를 치면 꼬리로 攻擊하고 꼬리를 치면 머리가 攻擊해 온다.  또 허리를 치면 이번에는 머리와 꼬리가 함께 攻擊한다{長蛇陳}.  이처럼 軍士도 率然의 머리와 꼬리처럼 合心하여{首尾相扶} 싸우면 못당할 敵이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 가능할까.  많은 사람이 疑心을 품자 그는 옛날 吳와 越 두나라 사람들이 함께 배를 타고 江을 건너는 것에 比喩하여 說明하고 있다.  알다시피 두 나라는 앙숙(怏宿)이다.  유명한 臥薪嘗膽의 古事도 거기서 나왔다.  두 나라 사람들이 함께 배를 타고 江을 건너는데 颱風이 휘몰아 쳤다고 하자.  평상시의 怏心만 새기고 서로 아옹다옹 싸우기만 한다면 배는 뒤집어지고 말것이며 그렇게 되면 모두 물에 빠져 죽고 만다.  그러나 怏心을 잊고 合心團結하여 颱風과 맞선다면 둘 다 살아 남을 수가 있다.  곧 어려움에 처해 서로 힘을 合치는 것이 重要하다.
  이처럼 平素 사이가 좋지 않은 사람이 같은 目的을 위해 잠시 힘을 합칠 때 우리는 吳越同舟라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2 古色蒼然 셀라비 2015.04.18 2278
261 鼓腹擊壤 이규 2015.04.13 1952
260 孤立無援 셀라비 2015.04.12 1950
259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2052
258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2034
257 股肱之臣 이규 2015.01.12 2099
256 季布一諾 셀라비 2015.01.03 2241
255 季札掛劍 셀라비 2014.12.28 1985
254 鷄鳴拘吠 셀라비 2014.12.25 2223
253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2064
252 契酒生面 셀라비 2014.12.18 2229
251 鷄肋 셀라비 2014.12.17 2245
250 鷄卵有骨 셀라비 2014.12.14 2105
249 經世濟民 LeeKyoo 2014.12.12 2114
248 傾國之色 셀라비 2014.12.09 2195
247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2049
246 結草報恩 셀라비 2014.12.06 2355
245 結者解之 셀라비 2014.12.05 1893
244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2048
243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