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45
어제:
257
전체:
762,447

氾濫

2012.12.26 20:47

이규 조회 수:1359

 

氾 넘칠 범
濫 넘칠 람


氾濫-물이 넘쳐 흐름


氾은 물이 侵犯하는 것을 意味한다. 

비가 많이 와서 물이 불어나 江이나 河川을 넘쳐 길이나 집, 또는 논밭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意味한다. 

따라서 氾의 본뜻은 ‘넘치다’가 된다.
  濫은 물 水와 볼 監의 결합인데, 監은 사람이 누워서{臥} 쳐다 보았던 그릇{血}으로 거울을 뜻한다. 

옛날에는 세수대야에다 물을 받아 비춰 보았다. 

후에 監이 監督, 指示의 뜻으로 變하자 金을 붙여 鑑(거울 감)자를 새롭게 만들게 되었다.

곧 濫은 거울(監)에 물이 흘러 넘치고 있는 模襲으로 ‘넘치다’라는 뜻을 갖게 된다. 

濫發, 濫觴(남상), 濫伐, 濫用, 濫發, 濫伐, 濫獲(남획), 猥濫(외람)이 있다.
  그러니까 氾濫은 ‘물이 넘친다’는 뜻이 되겠다.

洪水란 말도 있듯이 中國의 初期 歷史는 洪水와 鬪爭의 歷史라 해도 過言이 아니다. 

등척(鄧拓)이 쓴 [中國 救荒史]는 漢나라 때부터 1936년 까지 近 2년 동안 무려 1천37회의 洪水가 있었다고 전한다.
  바다같은 黃河와 揚子江이 번갈아 氾濫한 때문이다. 

이런 狀況은 堯 임금 때의 大洪水와 禹 임금의 治水로 神話에 나타나 있다. 

그래서 그들은 黃河의 물길을 다스리는 자가 中原을 制覇한다고 믿었다. 

물론 神話라서 신빙성(信憑性)은 없다고 하겠지만 그만큼 中國 사람들이 일찍부터 洪水의 威脅에 시달렸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孟子는 當時의 洪水를 言及하고 있다.  “堯임금 때 큰 물이 아무데나 흘러 天下에 氾濫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2 裁 判 이규 2013.08.21 2240
221 氷上人 이규 2013.08.23 1702
220 改 閣 이규 2013.08.26 1937
219 夜不閉戶 이규 2013.08.29 2021
218 監 獄 이규 2013.09.02 2237
217 中 國 이규 2013.09.03 1810
216 政經癒着 이규 2013.09.05 2029
215 大議滅親 이규 2013.09.09 1833
214 五十笑百 이규 2013.09.11 1839
213 欲速不達 이규 2013.09.13 2167
212 詭 辯 이규 2013.09.14 1718
211 包靑天 이규 2013.09.15 2081
210 動 亂 이규 2013.09.16 1778
209 自 治 이규 2013.09.18 1638
208 改 革 이규 2013.09.19 2134
207 妄 言 이규 2013.09.20 1767
206 天安門 이규 2013.09.22 1746
205 敎 育 이규 2013.09.23 2021
204 幾 何 이규 2013.09.24 2193
203 紛 糾 이규 2013.09.25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