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72
어제:
257
전체:
762,474

如意

2012.12.04 20:45

이규 조회 수:3175

如  같을 여
意  뜻 의


如意=마음 먹은 대로 됨

 

如는 ‘여자(女)란 男便의 말(口)에 잘 따라야 한다’는 뜻으로 본디 ‘順從’을 뜻했다.  男便으로서는 자기 뜻과 같이 되었으므로 ‘같다’라는 뜻도 지니게 되었다. 

如實, 如此, 如何間이 있다.
  意는 音과 心의 結合이다.  사람의 心理 狀態는 마음{心}에서 비롯되어 말{音}로 나타나는 法이다.  그래서 意는 ‘뜻, 기분’이 된다. 

意見, 意思, 意志, 故意, 任意가 있다. 

따라서 如意라면 ‘뜻대로 되다’가 된다. 

우리 民譚에 登場하는 ‘도깨비 방망이’라고나 할까.

그러나 본디 如意는 그처럼 靈驗을 지닌 物件이 아니라 平凡하기 그지 없는 지금의 ‘孝子손’을 뜻했을 뿐이다.
  唐 玄宗이라면 楊貴妃와의 로멘스로 有名하다. 

한번은 國政을 돌보던 중 갑자기 등이 가려워 體面 不具하고 긁었다.  하지만 아무리 긁어도 손이 닿지 않아 시원치가 않았다. 

 이 때 臣下 나공원(羅公遠)이 얼른 대나무를 잘라 갖다 바쳤다. 

과연 구석구석까지 시원하게 긁어지는 것이 아닌가.  玄宗이 말했다.
  “ 허 그놈 참, 시원도 하다. 마음먹은 대로 다 되니(如人之意)… ”
  이 때부터 ‘孝子손’을 如意라고 불렀는데 後에는 吉祥의 象徵이 되어 如意珠나 如意棒이라는 말이 나왔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2 裁 判 이규 2013.08.21 2244
221 氷上人 이규 2013.08.23 1711
220 改 閣 이규 2013.08.26 1939
219 夜不閉戶 이규 2013.08.29 2028
218 監 獄 이규 2013.09.02 2249
217 中 國 이규 2013.09.03 1822
216 政經癒着 이규 2013.09.05 2033
215 大議滅親 이규 2013.09.09 1841
214 五十笑百 이규 2013.09.11 1845
213 欲速不達 이규 2013.09.13 2168
212 詭 辯 이규 2013.09.14 1728
211 包靑天 이규 2013.09.15 2086
210 動 亂 이규 2013.09.16 1779
209 自 治 이규 2013.09.18 1642
208 改 革 이규 2013.09.19 2139
207 妄 言 이규 2013.09.20 1772
206 天安門 이규 2013.09.22 1749
205 敎 育 이규 2013.09.23 2032
204 幾 何 이규 2013.09.24 2200
203 紛 糾 이규 2013.09.25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