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43
어제:
324
전체:
768,267

한자 한자어의 짜임 - 술목, 술보관계

2012.12.03 21:00

이규 조회 수:3927

** 술목 관계(述目關係)
  서술어와 목적어의 관계로 결합된 한자어의 짜임. 이 때의 서술어는 행위나 동작을 나타내고 목적어는 그 대상이 된다.
'交友(교우) : 벗을 사귐  '讀書(독서) : 책을 읽음
'修身(수신) : 몸을 닦음  '愛國(애국) : 나라를 사랑함
'成功(성공) : 공을 이룸  '作文(작문) : 글을 지음

 

** 술보 관계(述補關係)
  서술어와 보어의 관계로 결합된 한자어의 짜임을 술보 관계라 한다. 서술어는 행위나 동작을 나타내고 보어는 서술어를 도와 부족한 뜻을 완전하게 해준다.
'歸家(귀가) : 집에 돌아감 '登山(등산) : 산에 오름
'多情(다정) : 정이 많음  '有名(유명) : 명성이 있음
'如前(여전) : 전과 같음  '非凡(비범) : 보통이 아님


*한자어의 풀이 순서
  ‘병렬’, ‘수식’, ‘주술’ 관계는 우리말 어순(語順)과 같고, ‘술목’, ‘술보’ 관계는 우리말 어순과 반대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2 痼 疾 이규 2013.11.07 1842
101 物 色 이규 2013.11.05 1842
100 嘗 糞 이규 2013.07.19 1841
99 格物致知 셀라비 2014.12.01 1838
98 秀 才 셀라비 2014.03.19 1838
97 逆 鱗 셀라비 2014.02.03 1838
96 社 會 셀라비 2014.03.18 1834
95 法 曹 이규 2013.08.13 1831
94 乾坤一擲 이규 2013.11.10 1829
93 鼎 革 이규 2013.12.09 1828
92 螢雪之功 셀라비 2014.07.23 1826
91 鼓 舞 이규 2013.11.01 1826
90 逐 鹿 셀라비 2013.12.25 1825
89 鍛 鍊 셀라비 2013.12.12 1825
88 Ⅰ. 한자어의 이해 이규 2012.11.23 1824
87 解語花 셀라비 2013.12.23 1822
86 庭 訓 이규 2014.01.03 1819
85 餓 鬼 셀라비 2013.12.17 1819
84 得壟望蜀 셀라비 2014.07.14 1817
83 品 評 셀라비 2014.06.24 1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