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382
어제:
1,179
전체:
765,250

한자 問 鼎

2013.11.23 19:33

이규 조회 수:2052

問 鼎

물을

 

 

왕권의 상징인 솥의 무게를 물음

침략 의미

 

 

은 대문()사이로 입()을 삐죽이 내밀면서 묻는 模襲이며, ()은대문()사이에 귀()를 갖다대고 엿듣는 模襲이다.들을 문자다.()은 세발 달린 솥의 모양에서 나온 글자다.정족지세(鼎足之勢)니 정립(鼎立)이라면 天下三分形勢三國時代를 뜻하며 정신(鼎臣)은 솥의 세 발처럼 나라를 받들고 있는 重要 大臣을 말한다.본디 은 옛날 우()가 만든 개의 솥에서 유래했다.그는 各地動植物을 새겨 百姓들이 安全하게 旅行할 수 있도록 했다.一種旅行 案內書였던 셈이다.그것을 帝王들이하나씩 가져가 國寶로 삼는 바람에 王權象徵으로 되었다.

春秋時代 ()의 장왕(莊王)은 오랑캐를 친다는 口實로 주()都邑地인 낙양(洛陽)校外까지 쳐들어왔다.정왕(定王)使臣 왕손만(王孫滿)을 보내자 말했다.

에는 보정(寶鼎)이 있다고 들었는데 도대체 그 무게가 얼마나 되는 것이오.그러자 본디 임기응변(臨機應變)했던 王孫滿은 재치있게 되받아넘겼다. 자고로 帝王覇業은 덕()에 있지 寶鼎의 무게에 있는 것은 아닌줄 아뢰오.莊王은 겸연쩍어 軍士撤收했다.

문정(問鼎)솥의 무게를 묻는다는 뜻으로 相對方侵略한다는 뜻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2 人 倫 이규 2013.07.29 2044
201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2040
200 改 閣 이규 2013.08.26 2040
199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2037
198 苦 杯 이규 2013.08.03 2027
197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2017
196 快 擧 이규 2013.07.21 2010
195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2009
194 發祥地 이규 2013.10.20 2007
193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2006
192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2003
191 季札掛劍 셀라비 2014.12.28 1993
190 狐假虎威 이규 2013.10.11 1992
189 賞 春 이규 2013.08.15 1992
188 誣 告 이규 2013.07.24 1983
187 執牛耳 이규 2013.11.15 1980
186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1977
185 不忍之心 이규 2013.07.13 1976
184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1976
183 鼓腹擊壤 이규 2015.04.13 1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