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77
어제:
315
전체:
766,825

戰戰兢兢

2012.11.25 15:04

이규 조회 수:1145

戰 싸울 전
兢 떨 긍

 

戰戰兢兢- 두려워서 몹시 떠는 상태


흔히 戰이라면 ‘싸우다’라는 뜻으로만 알고 있다.  戰爭, 戰鬪, 激戰 등이 그렇다.  하지만 ‘두려워 벌벌 떤다’는 뜻도 가지고 있다.  戰慄이 그 境遇다.  따라서 戰戰이나 兢兢은 둘다 ‘두려워 몹시 떠는 狀態’를 가리킨다.
  曾子는 孔子의 首弟子로 특히 孝行으로 有名하다.  그가 孝를 논한 [孝經]에 보면 다음과 같은 孔子의 말이 엿보인다.  “모든 身體는 父母로 부터 받은 것이니 함부로 損傷시키지 않는 것이 孝의 첫걸음이요…” {身體髮膚, 受諸父母, 不敢毁傷, 孝之始也…}
  그는 平生 동안 孔子의 말씀을 鐵則으로 삼고 지켰다.  그래서 臨終때 弟子들을 불러 행여 自身의 肉身에 損傷된 부분이 없는지 손과 발을 자세히 살펴보게 했다.  그러면서 [詩經]의 詩를 引用했다.
    戰戰兢兢 - 언제나 벌벌 떨면서
    如臨深淵 - 마치 깊은 못가에 있는 듯!
  그것은 자신이 孔子의 그 말씀을 지키기 위해 平生토록 戰戰兢兢, 마치 살얼음을 밟듯이 살아왔다는 뜻이다.  곧 戰戰兢兢은 본디 행여 잘못을 범하지나 않았는지 두려워 벌벌 떠는 데서 나온 말로 좋은 意味였음을 알 수 있다.  法과 秩序를 지키기 위해 戰戰兢兢한다면 이 또한 바람직한 社會가 되지 않을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 人 倫 이규 2013.07.29 2069
21 郊 外 이규 2013.07.28 2177
20 春困症 이규 2013.07.27 1921
19 家 庭 이규 2013.07.25 1909
18 誣 告 이규 2013.07.24 2009
17 歸 順 이규 2013.07.23 1929
16 快 擧 이규 2013.07.21 2038
15 嘗 糞 이규 2013.07.19 1821
14 黃 砂 이규 2013.07.18 1893
13 蹴 鞠 이규 2013.07.16 2101
12 不忍之心 이규 2013.07.13 1998
11 朝三募四 이규 2013.07.10 1829
10 董狐之筆 이규 2013.07.05 1891
9 遠交近攻 이규 2013.07.04 1886
8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2003
7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2106
6 한자어의 짜임 - 술목, 술보관계 이규 2012.12.03 3899
5 한자어의 짜임 - 주술 관계 이규 2012.11.26 2250
4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2050
3 한자어의 짜임 - 병렬관계 이규 2012.11.24 2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