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52
어제:
1,101
전체:
763,455

한자 婚 姻

2013.10.08 20:35

이규 조회 수:2752

婚 姻

혼인할

혼인할

 

 

남녀가 결혼하는 것

 

 

中國에서는 婚禮를 대체로 저녁녘에 치렀다. 그것은 女子陰氣를 나타내므로일부러 대낮을 피했기 때문이다. 象徵하므로 아무런 音樂演奏하지 않고 조용히 치렀다. 은 바로 그것을 뜻하는 글자다. 곧 여자측))의집에서 저녁 어두울 때))擧行했다 하여 만들어진 글자다. 그래서親庭妻家를 뜻하기도 한다.

반면 )原因契機)結合으로 이미 女子측에서 식)婚禮)을 올렸기 때문에)), 新郞新婦))를 데리고 自己 집으로 돌아간다. 그래서媤宅을 뜻한다. 이처럼 結婚決定되면 먼저 新郞新婦측에 보내 新婦를 맞이해 오도록 했는데, 이것을 중국에서는 친영)親迎)우리는 초행)醮行)또는 醮行걸음이라고 한다. 新婦측은 을 차리고 新郞을 맞게 되며, 이때 新郞은 기러기를 바치는데)奠雁禮)그것은 季節變化를 한 치의 誤差도 없이 알아내 다시 찾아오는 기러기의 正確性을 빌려온 것이다. 婚姻約束誠實히 지키겠다는 新郞意思 表現인 것이다. 婚禮를 치른 뒤에야 新婦媤宅으로 가는데 그것을 우귀)于歸)라고 한다. 이 때 媤宅에서 인례)姻禮)를 치르면서 媤父母媤宅親戚들과 첫 對面을 하게 된다. 그것을 현구례)見舅禮)라고 했다. 이때부터 本格的인 시집살이가 시작되는 셈이다. 그리하여 첫 農事를 짓게 되면 收穫穀食으로 떡술을 빚어 新郞과 함께 親庭을 찾는데, 그것을 覲親이라고 했다. 비로소 婚姻式이 모두 끝나는 것이다. 그러니 옛날의 婚姻最小년은 걸렸던셈이다. 며칠 만에 끝내는 지금과는 많이 달랐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 苦 杯 이규 2013.08.03 1970
61 問 鼎 이규 2013.11.23 1971
60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1972
59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1972
58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1975
57 文 獻 셀라비 2014.03.03 1986
56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1989
55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1992
54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1998
53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2004
52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2010
51 犬馬之心 이규 2013.09.27 2012
50 千字文 이규 2013.10.12 2012
49 持 滿 이규 2013.11.28 2020
48 信賞必罰 셀라비 2013.10.27 2021
47 蹴 鞠 이규 2013.07.16 2024
46 紛 糾 이규 2013.09.25 2041
45 肝膽相照 이규 2013.11.12 2043
44 股肱之臣 이규 2015.01.12 2044
43 鷄卵有骨 셀라비 2014.12.14 2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