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103
어제:
1,101
전체:
763,606

한자 復 古

2014.03.04 20:26

셀라비 조회 수:2286

復 古

돌아올

 

 

옛 것을 되살림

 

 

孔子는 매우 混亂時代에 태어났다. 그는 왜 天下가 이렇게 混亂한지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結論은 다들 職分을 지키지 않고 分數넘치게 行動했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그래서 그는 强調했다. 분수를 지키자!』

하지만 말로만 해서는 說得力이 없을 것 같아 모델을 提示해야 겠다고 생각했다. 바로 나라 初期에 그런 時代가 있었음을 發見했다. 職分을 잘 지켜 太平聖代가 되었던 時代였다. 그러나 그것은 그로부터 무려 5백여년 전이었다. 그런 다음 그는 그때가 좋았다며 그때로 돌아가자고 외쳤다. 孔子에게 있어 그때는 옛날이여였던 셈이다. 이처럼 過去를 하나의 모델로 삼고 그때로 돌아가자고 主張하는 것이復古.

그의 主張 중에는 좋은 것도 많다. 禮義孝道勉學등등. 그러나 復古만은 좀 困難하다. 歷史의 수레바퀴를 무려 백년이나 거꾸로 돌려 놓다니. 그의 影響으로 우리는 過去 志向的이다. 그래서 옛 것이면 무조건 좋다고 느낀다. 그러나 생각해 볼 일이다. 新羅時代아니 朝鮮時代電氣가 있었으며 컴퓨터가 있었단 말인가. 3第一 먼저 復古의 멍에를 벗어던진 日本이가장 앞선 나라가 되었다는 事實을 알 필요가 있다. 물론 옛 것이라도 좋은 것은 잊지 말아야 겠지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2 中 國 이규 2013.09.03 1868
161 麥秀之嘆 셀라비 2014.08.17 1865
160 春困症 이규 2013.07.27 1863
159 輓 歌 셀라비 2014.07.15 1857
158 靑出於藍 셀라비 2014.09.01 1856
157 拍 車 셀라비 2013.12.19 1855
156 瓦 解 이규 2013.08.18 1854
155 家 庭 이규 2013.07.25 1854
154 老馬之智 셀라비 2014.06.21 1853
153 結者解之 셀라비 2014.12.05 1847
152 鴛 鴦 이규 2013.12.01 1845
151 妄 言 이규 2013.09.20 1842
150 破 綻 셀라비 2014.02.28 1837
149 效 嚬 셀라비 2013.10.24 1833
148 破 格 이규 2013.10.07 1833
147 問 津 이규 2013.10.25 1832
146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1829
145 彌縫策 셀라비 2014.09.23 1826
144 回 甲 셀라비 2014.06.19 1826
143 採薇歌 셀라비 2014.09.14 1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