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40
어제:
1,186
전체:
764,729

九牛一毛

2013.06.11 20:55

이규 조회 수:1534

九아홉구
牛소우
一한일
毛털모


 매우 하찮음


  中國을 最初로 統一한 사람은 진시황(秦始皇)이지만 한무제(漢武帝)는 그보다 몇배나 더 큰 땅을 차지했다.그러나 북쪽에 있는 흉노(匈奴)만은 큰 골치거리였다.그래서 장군 이릉(李陵)을 시켜 치게 했지만 오히려 패해 降伏하고 말았다.武帝의 憤怒는 하늘을 찌를듯 했고 다들 李陵을 逆賊으로 몰아 붙였다.그러나 친구였던 사마천(司馬遷)만은 客觀的인 狀況을 들어 그를 두둔하고 나섰다.怒發大發한 武帝는 그를 당장 下獄시키라고 했다.
  그러던 어느날 간신 두주(杜周)가 司馬遷이 恨을 품고 있다고 무고(誣告)하자 武帝는 司馬遷에게 부형(腐刑․宮刑이라고도 함․남자의 성기를 자르는 것)을 내리고 말았다.司馬遷은 極度의 恥辱을 느낀 나머지 自殺을 생각했다.그러나 아버지 사마담(司馬談)의 遺言(中國 最初의 通史를 쓰는 것)이 있었으므로 이렇게 죽는다면 아홉 마리의 소(九牛)중에서 털 하나(一毛)를 뽑아버린 것에 불과할 정도로 하찮은 죽음이 될 것이다.同情은 커녕 많은 사람이 비웃을 것인 즉 그 名譽는 누가 報償해 줄 것인가.그는 自身의 心情을 親舊 임소경(任少卿)에게 便紙로 알렸다(報任少卿書).
  구우일모(九牛一毛)는 여기서 나온 말로「매우 하찮은 것」을 뜻한다.마침내그는 自殺을 斷念하고 恥辱을 감수한 채 통사(通史)의 著述에 매달렸다.不朽의 名著 [사기(史記)] 는 이렇게 하여 태어났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4 兎死狗烹 이규 2013.06.14 1664
183 狼 藉 셀라비 2014.01.21 1663
182 街談港說 셀라비 2013.10.20 1663
181 猶 豫 셀라비 2014.04.23 1660
180 感慨無量 셀라비 2014.11.25 1659
179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656
178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656
177 換骨奪胎 셀라비 2014.01.13 1655
176 文化 이규 2012.12.03 1649
175 公 約 셀라비 2014.05.27 1647
174 破廉恥 이규 2012.11.24 1646
173 凱 旋 yikyoo 2014.06.11 1645
172 復舊 이규 2012.11.05 1640
171 家 臣 셀라비 2014.02.24 1639
170 長頸烏喙 이규 2013.05.30 1637
169 錦衣夜行 셀라비 2014.06.02 1636
168 官 吏 셀라비 2014.03.23 1636
167 膺懲 이규 2013.02.18 1635
166 誘 致 이규 2013.06.17 1634
165 獅子喉 이규 2013.02.12 1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