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54
어제:
1,186
전체:
764,643

한자 甘呑苦吐

2014.11.26 20:34

셀라비 조회 수:1592

감탄고토 甘呑苦吐(달 감․삼킬 탄․쓸 고․뱉을 토)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 사리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지 않고 유리하면 하고 불리하면 하지 않는 이기주의적인 태도.

☞나무에 아주 친구가 없는 것은 아니다. 달이 있고, 바람이 있고, 새가 있다. 달은 때를 어기지 아니하고 찾고, 고독한 여름 밤을 같이 지내고 가는, 의리 있고 다정한 친구다. 웃을 뿐 말이 없으나, 이심전심(以心傳心) 의사가 잘 소통되고 아주 비위에 맞는 친구다. 바람은 달과 달라 아주 변덕 많고 수다스럽고 믿지 못할 친구다. 자기 마음 내키는 때 찾아올 뿐 아니라, 어떨 때에는 쏘삭쏘삭 알랑거리고, 어떤 때에는 난데없이 휘갈기고, 또 어떤 때에는 공연히 뒤틀려 우악스럽게 남의 팔다리에 생채기를 내놓고 달아난다. 새 역시 바람같이 믿지 못할 친구다. 자기 마음 내키는 때 찾아오고, 자기 마음 내키는 때 달아난다. 그러나, 가다 믿고 와 둥지를 틀고, 지쳤을 때 찾아와 쉬며 푸념하는 것이 귀엽다. 그리고, 가다가 흥겨워 노래할 때, 노래 들을 수 있는 것이 또한 기쁨이 되지 아니할 수 없다. 나무는 이 모든 것을 잘 가릴 줄 안다. 그러나, 좋은 친구라 하여 달만을 반기고, 믿지 못할 친구라 하여 새와 바람을 물리치는 일이 없다. 그리고, 달을 달리 후대(厚待)하고 새와 바람을 박대(薄待)하는 일이 없다. 달은 달대로, 새는 새대로, 바람은 바람대로 다같이 친구로 대한다. 그리고, 친구가 오면 다행하게 생각하고, 오지 않는다고 하여 불행해 하는 법이 없다.

(문제1) 나무의 풍모를 표현한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견인주의자(堅忍主義者)     ② 고독한 철인(哲人)     ③ 후덕(厚德)한 군자(君子)
④ 안분지족(安分知足)의 현인(賢人)     ⑤ 거룩한 사제(司祭)

(문제2) 밑줄 친 부분과 대조적인 현실 세태를 반영하는 한자 성어는?
① 甘呑苦吐     ② 近墨者黑     ③ 朝三募四     ④ 權謀術數     ⑤ 易之思之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選 良 이규 2013.08.07 1903
143 五十笑百 이규 2013.09.11 1904
142 幣 帛 이규 2013.10.13 1907
141 入吾彀中 이규 2013.10.14 1908
140 淸 貧 yikyoo 2014.06.15 1910
139 杯中蛇影 이규 2013.04.09 1912
138 審判 이규 2012.10.30 1913
137 猪 突 이규 2013.11.27 1913
136 國會 이규 2012.11.07 1917
135 花 信 셀라비 2013.08.02 1917
134 櫛 比 이규 2013.08.08 1920
133 雲 集 이규 2013.08.09 1920
132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1920
131 奇蹟 이규 2012.12.06 1921
130 大公無私 이규 2013.10.16 1927
129 孤立無援 셀라비 2015.04.12 1931
128 大器晩成 이규 2013.10.22 1932
127 道 路 이규 2013.08.17 1933
126 鼓腹擊壤 이규 2015.04.13 1937
125 知 音 셀라비 2014.03.24 1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