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30
어제:
1,186
전체:
764,719

한자 多岐亡羊

2014.06.09 21:01

yikyoo 조회 수:1709

多岐亡羊

많을

가닥나뉠

잃을

학문의 길은 멀고 멀음으로

진리를 찾기 어려움

春秋時代 楊子(孔子以後 孟子以前學者)의 이웃집 사람이 한마리를 잃었다. 그는 그 집 사람을 다 動員하고 또 楊子네 집 사람까지 하여 잃은 을 찾으러 나섰다. 그 때 楊子가 물었다.

한 마리의 을 찾는데 왜 그리 여러 사람이 나서는가?”

양이 逃亡친 쪽으로 岐路(갈림길)가 많기 때문입니다.”

얼마 사람들이 돌아왔다.

을 찾았는가?”

못 찾았습니다.”

을 못 찾았는가?”

岐路가 있어 들어갔더니 또 岐路가 나옵니다(琦路之中又有岐路).” 그래서 우리들은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할 수 없이 되돌아 왔지요.“

楊子는 그 말을 듣고는 우울한 얼굴로 말을 잊고 있었다. 弟子가 왜 그러냐고 물었다. 이에 楊子는 한참만에 서서히 입을 열었다. “目的한 마리를 찾는 일인데, 갈림길 갈림길하고 헤메다가 결국 그것을 잃고 말았다. 學文의 길도 그와 같다. 眞理核心을 놓치고 마는 探究方法無意味하고 헛된 것임을 깨달았네.”

目標를 정하였으면 바른 길을 찾아야 함을 强調하는 말임을 알 수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4 猶 豫 셀라비 2014.04.23 1659
303 街談港說 셀라비 2013.10.20 1660
302 兎死狗烹 이규 2013.06.14 1663
301 狼 藉 셀라비 2014.01.21 1663
300 首鼠兩端 셀라비 2014.09.29 1664
299 鳳 凰 이규 2013.06.22 1668
298 鵬程萬里 이규 2013.10.03 1669
297 喜 悲 셀라비 2014.06.12 1669
296 華 燭 셀라비 2014.06.08 1673
295 杜 撰 셀라비 2014.07.10 1674
294 華胥之夢 셀라비 2014.07.22 1675
293 鼓腹擊壤 셀라비 2014.05.26 1676
292 獨眼龍 셀라비 2014.07.05 1676
291 後生可畏 이규 2013.11.24 1677
290 投 抒 셀라비 2014.07.03 1677
289 諱之秘之 이규 2013.06.25 1681
288 遼東豕 셀라비 2014.01.23 1683
287 脾 肉 셀라비 2014.02.10 1686
286 自暴自棄 이규 2013.01.01 1688
285 愚公移山 이규 2013.04.16 16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