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04
어제:
1,101
전체:
763,507

騎虎之勢

2013.04.01 21:47

이규 조회 수:1617

騎 탈 기
虎 범 호
之 갈 지
勢 권세 세

 

기세를 유지해 박력있게 일을 추진함


  進退兩難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경우다.  사실 일을 벌여 놓고 보면 도중에 그만 두려고 해도 그만 둘 수 없을 때가 있다.  그럴 때는 주저하지 말고 그 氣勢를 그대로 유지해 迫力있게 推進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그것을 뜻하는 말이 騎虎之勢이다.  ‘호랑이를 탄 形勢’라는 뜻이다.  호랑이를 잡으러 산에 올라 갔다가 갑자기 호랑이가 나타나자 그만 엉겁결에 호랑이 등에 올라탔다.  등에서 내리면 물려 죽고 만다.  이럴 때는 그대로 계속 타고 있을 수 밖에 없다.
  魏晋南北朝 360년의 분열을 통일한 이는 양견(楊堅)이다.  그는 본디 北朝의 北周 선제(宣帝)의 丈人이었다.  宣帝가 죽고 아들 정제(靜帝)가 섰지만 나이가 워낙 어려 그는 손쉽게 帝位를 찬탈(簒奪), 나라를 세우고 국호를 隋라 하였으며, 자신은 文帝라 하였다.  그의 皇后 독고(獨孤)씨는 女傑로 일찍이 남편의 野心을 잘 알고 있었다.
  宣帝가 죽자 楊堅은 드디어 天下를 簒奪하겠다는 생각을 품게 된다.  물론 반대하는 세력도 만만치 않았다.  하루는 楊堅이 擧事를 劃策하기 위해 宮中에 들어가 있는데 獨孤씨가 몰래 사람을 보내 密書를 전해 왔다.
  “범을 탄 이상 도중에 내려서는 위험합니다.  범과 함께 최후까지 달려야 합니다.  이미 큰일을 저지른 이상 후회말고 밀어 붙여 목적을 달성토록 하소서.”
  楊堅은 아내의 말에 크게 鼓舞되어 그 길로 靜帝를 脅迫, 天下를 차지할 수 있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登龍門 lkplk@hitel.net 2014.01.22 1677
323 狼 藉 셀라비 2014.01.21 1625
322 千里眼 셀라비 2014.01.20 1764
321 從容有常 셀라비 2014.01.17 1774
320 千里馬 셀라비 2014.01.15 2607
319 換骨奪胎 셀라비 2014.01.13 1621
318 茶 禮 셀라비 2014.01.09 1665
317 連理枝 LeeKyoo 2014.01.06 1783
316 庭 訓 이규 2014.01.03 1711
315 逐 鹿 셀라비 2013.12.25 1712
314 蝴蝶夢 셀라비 2013.12.24 1808
313 解語花 셀라비 2013.12.23 1725
312 關 係 LeeKyoo 2013.12.22 1687
311 拍 車 셀라비 2013.12.19 1839
310 尋 常 셀라비 2013.12.18 1770
309 餓 鬼 셀라비 2013.12.17 1703
308 咫 尺 LeeKyoo 2013.12.15 1769
307 鍛 鍊 셀라비 2013.12.12 1714
306 鼎 革 이규 2013.12.09 1707
305 獨 對 이규 2013.12.08 1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