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02
어제:
776
전체:
770,838

膺懲

2013.02.18 21:06

이규 조회 수:1719


膺칠응
懲징계할징


 膺懲=못된 자를 치는 것

 


  膺은 膺(응)의 變形된 글자이다.  膺은 ‘매’를 意味한다.  매가 새의 살(肉-月)을 마구 쪼아 먹는 것이 膺으로 ‘공격하다’, ‘치다’는 뜻이다.  懲은 徵과 心의 結合인데 徵에는 ‘거두다’는 뜻(徵收, 徵發, 追徵)외에 ‘徵驗’, ‘效驗’의 뜻도 있으므로 懲은 ‘마음’으로 相對의 잘못을 바로 잡는다는 뜻이다.  그래서 ‘꾸짖다’가 된다.  懲戒, 懲役, 勸善懲惡이 있다.  그러니까 膺懲은 相對方을 ‘쳐서 꾸짖는 것’이 아닐까.  본디 異民族을 쳐서 잘못을 悔改토록 하는 것을 뜻한다.
  中國은 일찍부터 中華思想에 젖어 바깥은 모두 오랑캐로 보았다.  그래서 所謂 동이(東夷), 서융(西戎), 남만(南蠻), 북적(北狄)이라는 四夷觀이 나타나는데 이 때문에 우리나라도 東夷가 되고 말았다.  이런 고약한 생각은 孟子같은 聖人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그 尺度가 種族이 아닌 文化에 있었던만큼 一端 中國의 文化를 받아들이면 같은 中華로 格上시켜(?) 주었다.
  그러나 끝까지 中國의 文化를 拒否하면 武力으로 쳤는데 그것이 바로 ‘膺懲’이었다.  곧 膺懲은 본디 野蠻人을 罰주는 한 方法이었던 것이 지금에 와서는 ‘못된 者를 치는 것’을 뜻하게 된 것이다.  北韓의 터무니 없는 挑發에 膺懲의 목소리가 높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4 肝膽相照 [1] 셀라비 2014.11.23 1659
423 刻舟求劍 셀라비 2014.11.21 1536
422 刻骨難忘 [1] 셀라비 2014.11.19 1546
421 佳人薄命 셀라비 2014.11.18 1927
420 家書萬金 셀라비 2014.11.17 1722
419 三十六計 셀라비 2014.10.30 1588
418 未亡人 셀라비 2014.10.29 1511
417 三人成虎 셀라비 2014.10.28 1496
416 墨翟之守 셀라비 2014.10.25 1671
415 蛇 足 셀라비 2014.10.24 1932
414 無用之用 셀라비 2014.10.21 2713
413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2055
412 糟糠之妻 셀라비 2014.10.14 1515
411 日暮途遠 셀라비 2014.10.11 1473
410 首鼠兩端 셀라비 2014.09.29 1783
409 白 眉 셀라비 2014.09.26 1528
408 武陵桃源 셀라비 2014.09.25 1456
407 彌縫策 셀라비 2014.09.23 2013
406 古 稀 셀라비 2014.09.22 1515
405 牛刀割鷄 셀라비 2014.09.21 1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