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92
어제:
1,186
전체:
764,581

秋毫

2013.02.03 21:16

이규 조회 수:1416


秋 가을 추
毫 털 호


 秋毫-가을에 돋는 동물의 가는 털  미세함 상징

 


  秋는 벼(禾)가 햇빝(火)을 받아 여무는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가을’을 뜻한다.  毫는 毛와 高가 결합한 뒤 글자의 美觀을 위해 一部를 省略했다.  그런데 高는 ‘높다’는 뜻외에 ‘크다’, ‘遠大하다’, ‘길다’는 뜻도 가지고 있다.  곧 毫는 ‘길고도 가는 털’로 붓을 만드는데 자주 使用되었다.  大體로 양이나 산토끼, 족제비 털이 쓰였는데, 특히 우리나라에서 족제비의 꼬리 털로 만든 붓은 낭미필(狼尾筆)이라 하여 中國에서도 特上品으로 認定해 주었다.  그래서 毫는 ‘붓’이라는 뜻도 가지게 되어 휘호(揮毫)라는 말도 있다.
  秋毫라면 ‘가을의 털’이 된다.  대체로 動物들은 여름에 실컫 먹고 가을이 되면 털갈이를 한다.  묵은 털이 빠지고 새로 나기 때문에 가을의 털은 몹시 여리고 가늘다.  솜털이라고나 할까.  여기에서 秋毫는 극히 微細한 存在를 뜻하게 되었다.
  孟子는 百姓을 중히 여기는 王道政治를 主張했던 사람이다.  齊나라의 宣王을 만나 自身의 政治觀을 披瀝할 機會가 있었다.  宣王이 자신도 王道政治를 할 수 있겠느냐고 묻자 거기에 答했다.
  “三千 근(斤)을 족히 드는 力士가 새의 날개 하나를 들지 못하고 가을의 털끝{秋毫}까지 볼 수 있는 자가 수레에 가득 실은 장작 더미는 보지 못합니다.”  그것은 宣王이 王道政治를 할 능력이 없어서가 아니라 그런 意志가 없음을 탓한 말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 妥結 이규 2012.12.02 1471
83 兩立 이규 2012.12.13 1470
82 割據 셀라비 2012.11.09 1466
81 囊中之錐 이규 2012.11.26 1465
80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464
79 國 家 이규 2013.06.10 1459
78 苛政猛於虎 셀라비 2014.05.03 1455
77 野合而生 이규 2013.04.02 1453
76 刻骨難忘 [1] 셀라비 2014.11.19 1449
75 周 年 이규 2013.06.20 1444
74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439
73 告由文 이규 2013.07.08 1438
72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436
71 文 字 이규 2013.07.06 1431
70 古 稀 셀라비 2014.09.22 1430
69 刻舟求劍 셀라비 2014.11.21 1428
68 洪水 이규 2013.02.02 1424
67 百年河淸 이규 2013.05.26 1423
66 乾坤一擲 셀라비 2014.11.29 1422
65 不俱戴天 이규 2013.04.30 1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