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72
어제:
1,186
전체:
764,661

葡萄

2013.01.09 20:02

이규 조회 수:1163

 



葡萄- 서역서 전래된 과일


葡는 ‘기는 풀’이라는 뜻이며, 萄는 옹기장이가 옹기(缶-장군 부)를 만들 때 감싸듯이(包-쌀 포) ‘감싸는 풀’이다.  곧 葡萄는 땅을 기듯 덩굴을 뻗어 덩굴손이 자꾸만 다른 物體를 감으면서 자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사마천(司馬遷)의 [史記]에 의하면 葡萄는 기원전 120년께 한무제(漢武帝) 때 西域(지금의 중앙 아시아 일대)을 개척했던 장건(張騫) 一行이 그곳에서 가져와 심었다고 한다.  산머루를 改良한 것이다.
  唐은 崔全盛期를 이루었던 時期로 國力이 四方으로 뻗쳤다.  이때 多量의 文物이 西域에서 傳來되었는데 그 중에는 葡萄 무늬도 있었다.  玄宗이 楊貴妃를 위해 비단에 葡萄 무늬를 수 놓을 西域人을 徵用해 왔음은 유명한 逸話이다.
  그래서인지 唐과 가까왔던 新羅도 와당(瓦當)이나 전(塼)에서 葡萄 무늬를 많이 사용햇는데 그것은 알알이 여무는 葡萄가 多孫, 多福의 象徵이었기 때문이었다.
  요즘 그 葡萄가 한창이다.  탐스럽게 여문 葡萄를 먹으면서 문득 생각 나는 詩가 있다. 내 고장 七月은 靑葡萄가 익어가는 시절.  이마을 전설이 주저리주저리 열리고.  먼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  이 가을에 葡萄가 낭만을 더해 주는 것 같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4 電擊 이규 2012.12.13 1146
463 左遷 이규 2013.01.17 1146
462 蠶室 이규 2013.01.05 1148
461 憲法 이규 2012.12.29 1151
460 變姓名 이규 2013.01.22 1158
» 葡萄 이규 2013.01.09 1163
458 蝸角之爭 이규 2012.11.23 1172
457 覇權 이규 2012.12.08 1188
456 汚染 이규 2013.01.24 1207
455 鳩首會議 이규 2013.01.21 1220
454 輾轉反側 이규 2013.05.08 1228
453 千慮一得 이규 2012.11.28 1237
452 窈窕淑女 이규 2013.03.19 1267
451 露 骨 이규 2013.05.29 1270
450 骨肉相爭 이규 2013.05.22 1292
449 指鹿爲馬 이규 2013.05.09 1294
448 明鏡止水 이규 2012.11.27 1300
447 犧牲 이규 2012.12.18 1305
446 飜覆 이규 2013.01.29 1316
445 反哺之孝 이규 2012.11.02 1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