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103
어제:
1,186
전체:
764,792

氾濫

2012.12.26 20:47

이규 조회 수:1415

 

氾 넘칠 범
濫 넘칠 람


氾濫-물이 넘쳐 흐름


氾은 물이 侵犯하는 것을 意味한다. 

비가 많이 와서 물이 불어나 江이나 河川을 넘쳐 길이나 집, 또는 논밭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意味한다. 

따라서 氾의 본뜻은 ‘넘치다’가 된다.
  濫은 물 水와 볼 監의 결합인데, 監은 사람이 누워서{臥} 쳐다 보았던 그릇{血}으로 거울을 뜻한다. 

옛날에는 세수대야에다 물을 받아 비춰 보았다. 

후에 監이 監督, 指示의 뜻으로 變하자 金을 붙여 鑑(거울 감)자를 새롭게 만들게 되었다.

곧 濫은 거울(監)에 물이 흘러 넘치고 있는 模襲으로 ‘넘치다’라는 뜻을 갖게 된다. 

濫發, 濫觴(남상), 濫伐, 濫用, 濫發, 濫伐, 濫獲(남획), 猥濫(외람)이 있다.
  그러니까 氾濫은 ‘물이 넘친다’는 뜻이 되겠다.

洪水란 말도 있듯이 中國의 初期 歷史는 洪水와 鬪爭의 歷史라 해도 過言이 아니다. 

등척(鄧拓)이 쓴 [中國 救荒史]는 漢나라 때부터 1936년 까지 近 2년 동안 무려 1천37회의 洪水가 있었다고 전한다.
  바다같은 黃河와 揚子江이 번갈아 氾濫한 때문이다. 

이런 狀況은 堯 임금 때의 大洪水와 禹 임금의 治水로 神話에 나타나 있다. 

그래서 그들은 黃河의 물길을 다스리는 자가 中原을 制覇한다고 믿었다. 

물론 神話라서 신빙성(信憑性)은 없다고 하겠지만 그만큼 中國 사람들이 일찍부터 洪水의 威脅에 시달렸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孟子는 當時의 洪水를 言及하고 있다.  “堯임금 때 큰 물이 아무데나 흘러 天下에 氾濫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4 鷄鳴拘吠 셀라비 2014.12.25 2223
443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2063
442 契酒生面 셀라비 2014.12.18 2229
441 鷄肋 셀라비 2014.12.17 2245
440 鷄卵有骨 셀라비 2014.12.14 2105
439 經世濟民 LeeKyoo 2014.12.12 2114
438 傾國之色 셀라비 2014.12.09 2195
437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2049
436 結草報恩 셀라비 2014.12.06 2355
435 結者解之 셀라비 2014.12.05 1893
434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2048
433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2003
432 隔靴搔痒 셀라비 2014.12.02 1792
431 格物致知 셀라비 2014.12.01 1789
430 乾木水生 셀라비 2014.11.30 1571
429 乾坤一擲 셀라비 2014.11.29 1433
428 甲男乙女 셀라비 2014.11.27 1361
427 甘呑苦吐 셀라비 2014.11.26 1608
426 感慨無量 셀라비 2014.11.25 1666
425 渴而穿井 셀라비 2014.11.24 2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