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00
어제:
1,186
전체:
764,589

한자 出 嫁

2013.12.03 21:36

이규 조회 수:1683

出 嫁

시집갈

 

 

여자가 시집을 감

 

 

는 여자()가 남자의 집()으로 가는 것, 女子시집가는 것이다. 改嫁, 轉嫁가 있다. 反面 男子장가가는 것(장가들 취). 男子여자를 취()한다는 뜻이다. 出嫁라면 여자가 시집가는 것으로 出嫁外人이란 말이 있다. 흔히 스님이 俗家를 떠나 佛門歸依하는 것도 출가라고 하지만 이 때는 出家標記한다.

에서 보듯 두글자는 모두 男性優位時代産物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人類는 본디 母系社會로써 女性上位時代였다. 人口가 적었던 當時에는 女子出産 能力重視되었던 것이다. 姓氏이 그것을 證明한다. 그래서 結婚男子女子을 취했는데, 이 때문에 人類 初期은 모두 변을 하고 있다. (), (), (), () .

그러나 男性의 힘과 生産力必要한 때가 되자 차츰 男性地位格上돼 마침내 男性優位時代到來하게 되는데, 이 때는 女子男子을 따르게 되어 가 나타나게 된다. 母系社會 氏父系社會産物이며, 本流라면 支流인 셈이다. 여기에는 임금의 아들 絶對的이었다. 그는 잘못된(?) 慣行打破하기 위해 앞장서 싸웠다. 이렇게 보면 그는 中國 最初男性運動家였던 셈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4 豈有此理 이규 2013.10.31 1830
183 火 箭 이규 2013.08.20 1833
182 箴 言 이규 2013.10.19 1834
181 寒心 이규 2012.11.10 1838
180 馬耳東風 셀라비 2014.06.22 1840
179 獨 對 이규 2013.12.08 1841
178 蝴蝶夢 셀라비 2013.12.24 1841
177 刎頸之交 이규 2013.04.19 1842
176 一場春夢 이규 2013.10.15 1842
175 개차반 셀라비 2015.03.27 1842
174 遠交近攻 이규 2013.07.04 1843
173 彌縫策 셀라비 2014.09.23 1844
172 董狐之筆 이규 2013.07.05 1845
171 回 甲 셀라비 2014.06.19 1846
170 부랴부랴 이규 2015.04.13 1846
169 黃 砂 이규 2013.07.18 1847
168 會 計 이규 2013.08.05 1847
167 動 亂 이규 2013.09.16 1847
166 問 津 이규 2013.10.25 1848
165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18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