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15
어제:
1,186
전체:
764,704

焦眉

2012.12.05 20:08

이규 조회 수:1604

焦眉

 

焦 태울 초
眉 눈썹 미

 

焦眉-눈썹이 타들어가는 다급한 상황


焦는 새둥지 밑에 불이 타고 있는 形狀으로 ‘태우다’, ‘다급하다’는 뜻을 갖고 있다.  焦點, 焦燥, 焦土化가 있다.  眉는 눈위에 털이 나있는 形狀으로 ‘눈썹’이라는 뜻이다.  아미(蛾眉-누에 눈썹같은 미인의 눈썹), 兩眉間이 있다.  따라서 焦眉라면 ‘눈썹이 타는 듯한 危急한 狀況’을 뜻한다. ‘焦眉의 關心事’라는 말이 있다.
  東漢 末期 曹操가 獻帝를 끼고 天下를 號令할 때 그의 越權 行爲에 不滿을 품고 일어난 자가 劉備와 孫權이다.  新野에서 劉備를 보기 좋게 擊破한 曹操가 그 길로 孫權을 향해 壓迫해 오자 겁이 난 孫權은 魯肅을 劉備의 陣營에 보내 聯合을 模索하게 되었다.
  그러나 孫權 麾下(휘하)의 많은 將帥들은 曹操에게 投降할 것을 主張했다.  聯合해 보았자 그를 당한다는 것은 力不足이었기 때문이었다.  後에 魯肅이 諸葛亮을 데리고 돌아오자 投降派의 代表라 할 수 있는 張昭가 諸葛亮에게 따지듯이 말했다.
  “나는 옛날부터 當身을 잘 파악하고 있었소. 지금 當身은 誇大妄想症에 빠져 마치 管 仲(齊나라 桓公 때의 명재상)이나 되는 것처럼 行動하고 있는데 當身이 이루어 놓은게 뭐있소?  劉備가 當身을 얻고 부터 連戰連敗한 나머지 지금은 눈썹이 타들어 가는{焦眉} 危急한 形局에 빠져 있다는 事實을 아시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4 狼 藉 셀라비 2014.01.21 1663
183 兎死狗烹 이규 2013.06.14 1663
182 街談港說 셀라비 2013.10.20 1660
181 猶 豫 셀라비 2014.04.23 1659
180 感慨無量 셀라비 2014.11.25 1655
179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655
178 換骨奪胎 셀라비 2014.01.13 1654
177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654
176 公 約 셀라비 2014.05.27 1645
175 凱 旋 yikyoo 2014.06.11 1644
174 文化 이규 2012.12.03 1642
173 破廉恥 이규 2012.11.24 1639
172 家 臣 셀라비 2014.02.24 1638
171 復舊 이규 2012.11.05 1637
170 錦衣夜行 셀라비 2014.06.02 1636
169 長頸烏喙 이규 2013.05.30 1635
168 膺懲 이규 2013.02.18 1634
167 官 吏 셀라비 2014.03.23 1633
166 誘 致 이규 2013.06.17 1632
165 獅子喉 이규 2013.02.12 1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