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01
어제:
257
전체:
762,403

如意

2012.12.04 20:45

이규 조회 수:3172

如  같을 여
意  뜻 의


如意=마음 먹은 대로 됨

 

如는 ‘여자(女)란 男便의 말(口)에 잘 따라야 한다’는 뜻으로 본디 ‘順從’을 뜻했다.  男便으로서는 자기 뜻과 같이 되었으므로 ‘같다’라는 뜻도 지니게 되었다. 

如實, 如此, 如何間이 있다.
  意는 音과 心의 結合이다.  사람의 心理 狀態는 마음{心}에서 비롯되어 말{音}로 나타나는 法이다.  그래서 意는 ‘뜻, 기분’이 된다. 

意見, 意思, 意志, 故意, 任意가 있다. 

따라서 如意라면 ‘뜻대로 되다’가 된다. 

우리 民譚에 登場하는 ‘도깨비 방망이’라고나 할까.

그러나 본디 如意는 그처럼 靈驗을 지닌 物件이 아니라 平凡하기 그지 없는 지금의 ‘孝子손’을 뜻했을 뿐이다.
  唐 玄宗이라면 楊貴妃와의 로멘스로 有名하다. 

한번은 國政을 돌보던 중 갑자기 등이 가려워 體面 不具하고 긁었다.  하지만 아무리 긁어도 손이 닿지 않아 시원치가 않았다. 

 이 때 臣下 나공원(羅公遠)이 얼른 대나무를 잘라 갖다 바쳤다. 

과연 구석구석까지 시원하게 긁어지는 것이 아닌가.  玄宗이 말했다.
  “ 허 그놈 참, 시원도 하다. 마음먹은 대로 다 되니(如人之意)… ”
  이 때부터 ‘孝子손’을 如意라고 불렀는데 後에는 吉祥의 象徵이 되어 如意珠나 如意棒이라는 말이 나왔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4 氷炭不容 이규 2013.03.24 1608
203 明 堂 셀라비 2014.04.15 1600
202 座右銘 셀라비 2014.04.09 1600
201 過猶不及 셀라비 2014.02.25 1600
200 脾 肉 셀라비 2014.02.10 1600
199 諱之秘之 이규 2013.06.25 1599
198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596
197 遼東豕 셀라비 2014.01.23 1594
196 出 嫁 이규 2013.12.03 1589
195 獨眼龍 셀라비 2014.07.05 1588
194 小 心 셀라비 2014.02.13 1588
193 兎死狗烹 이규 2013.06.14 1586
192 鼓腹擊壤 셀라비 2014.05.26 1583
191 換骨奪胎 셀라비 2014.01.13 1582
190 華 燭 셀라비 2014.06.08 1581
189 後生可畏 이규 2013.11.24 1580
188 猶 豫 셀라비 2014.04.23 1579
187 狼 藉 셀라비 2014.01.21 1579
186 街談港說 이규 2012.12.11 1579
185 喜 悲 셀라비 2014.06.12 15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