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30
어제:
1,186
전체:
764,719

한자 臨 終

2013.08.01 20:28

이규 조회 수:2108


臨임할임
終마칠종


 부모나 조상의 죽음을 지켜봄

 


  臨은 臣․人․品의 結合이다. 臣下는 늘 임금앞에서 몸을 굽혀야 한다. 그래서 臣은 「몸을 굽히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사람(人)이 몸을 굽히고 있는 것이 臥(누울 와)다. 品은 세개의 입, 즉 「많은 사람」에서 지금은 「많은 사물」도 뜻하게 되었다. 따라서 臨은 몸을 굽혀 많은 사람이나 사물을굽어보고 있는 形象이다. 비슷한 글자에 그릇(皿)을 쳐다본다는 뜻의 監(볼감)도 있다. 그런데 굽어보기 위해서는 다가가야 하므로 臨은「임하다」는 뜻도 있다. 임기응변(臨機應變)․임박(臨迫)․왕림(枉臨)이 그렇다.
  終은 멱와 冬의 合成字다. 멱는 「실」,冬은 「겨울」로서 1년의 「끝」을 意味한다. 그렇다면 終은 「실의 끝」이 아닌가. 옛날 실을 뽑을 때 실끝이 풀리는 것을 막기 위해 묶어두었던 데서 緣由한다. 물론 後에 終은 「끝」이라는 뜻을 가지게 된다. 종결(終結)․종점(終點)․종료(終了)․시종(始終)․최종(最終)등이 그렇다.
  곧 臨終이라면 「끝을 보기 위해 임하는 것」이다. 사람이 죽는 것을 終이라고 했기 때문에 臨終은 자식이 부모의 죽음을 지켜보면서 마지막으로 보내는것을 의미한다.그런 만큼 자식으로서 臨終은 꼭 해야 하며 臨終을 하지 못한자식은 스스로 不孝라고 여겼다.
   공자(孔子)의 弟子중 孝道로 有名한 증자(曾子)는「신종추원(愼終追遠)」이라는 말을 남겼다.부모의 臨終부터 葬禮까지 精誠을 다해 愼重히 처리하고 먼 祖上일지라도 잊지 않고 誠心껏 祭祀를 올리라는 뜻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4 輻輳 이규 2013.01.02 1129
423 恒産恒心 이규 2013.01.02 1131
422 蠶室 이규 2013.01.05 1156
421 燈火可親 이규 2013.01.07 1119
420 葡萄 이규 2013.01.09 1174
419 崩壞 이규 2013.01.13 1152
418 阿鼻叫喚 [2] 이규 2013.01.14 1096
417 籠絡 이규 2013.01.15 1088
416 伯仲勢 이규 2013.01.16 1115
415 左遷 이규 2013.01.17 1156
414 出師表 이규 2013.01.18 1153
413 吳越同舟 이규 2013.01.19 1153
412 一瀉千里 이규 2013.01.20 1084
411 鳩首會議 이규 2013.01.21 1229
410 變姓名 이규 2013.01.22 1170
409 納凉 이규 2013.01.23 1122
408 汚染 이규 2013.01.24 1222
407 香肉 이규 2013.01.25 1092
406 波紋 이규 2013.01.27 1369
405 赦免 [1] 이규 2013.01.27 1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