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77
어제:
1,186
전체:
764,666

戰戰兢兢

2012.11.25 15:04

이규 조회 수:1103

戰 싸울 전
兢 떨 긍

 

戰戰兢兢- 두려워서 몹시 떠는 상태


흔히 戰이라면 ‘싸우다’라는 뜻으로만 알고 있다.  戰爭, 戰鬪, 激戰 등이 그렇다.  하지만 ‘두려워 벌벌 떤다’는 뜻도 가지고 있다.  戰慄이 그 境遇다.  따라서 戰戰이나 兢兢은 둘다 ‘두려워 몹시 떠는 狀態’를 가리킨다.
  曾子는 孔子의 首弟子로 특히 孝行으로 有名하다.  그가 孝를 논한 [孝經]에 보면 다음과 같은 孔子의 말이 엿보인다.  “모든 身體는 父母로 부터 받은 것이니 함부로 損傷시키지 않는 것이 孝의 첫걸음이요…” {身體髮膚, 受諸父母, 不敢毁傷, 孝之始也…}
  그는 平生 동안 孔子의 말씀을 鐵則으로 삼고 지켰다.  그래서 臨終때 弟子들을 불러 행여 自身의 肉身에 損傷된 부분이 없는지 손과 발을 자세히 살펴보게 했다.  그러면서 [詩經]의 詩를 引用했다.
    戰戰兢兢 - 언제나 벌벌 떨면서
    如臨深淵 - 마치 깊은 못가에 있는 듯!
  그것은 자신이 孔子의 그 말씀을 지키기 위해 平生토록 戰戰兢兢, 마치 살얼음을 밟듯이 살아왔다는 뜻이다.  곧 戰戰兢兢은 본디 행여 잘못을 범하지나 않았는지 두려워 벌벌 떠는 데서 나온 말로 좋은 意味였음을 알 수 있다.  法과 秩序를 지키기 위해 戰戰兢兢한다면 이 또한 바람직한 社會가 되지 않을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陳 情 이규 2013.06.23 1619
323 窺豹一斑 이규 2013.04.14 1622
322 雲 雨 셀라비 2013.11.02 1623
321 師表 이규 2013.02.04 1625
320 復舊 이규 2012.11.05 1628
319 獅子喉 이규 2013.02.12 1628
318 破廉恥 이규 2012.11.24 1630
317 誘 致 이규 2013.06.17 1630
316 官 吏 셀라비 2014.03.23 1630
315 家 臣 셀라비 2014.02.24 1632
314 文化 이규 2012.12.03 1633
313 膺懲 이규 2013.02.18 1633
312 長頸烏喙 이규 2013.05.30 1633
311 錦衣夜行 셀라비 2014.06.02 1633
310 凱 旋 yikyoo 2014.06.11 1641
309 公 約 셀라비 2014.05.27 1643
308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651
307 換骨奪胎 셀라비 2014.01.13 1651
306 感慨無量 셀라비 2014.11.25 1651
305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