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39
어제:
1,186
전체:
764,628

戰戰兢兢

2012.11.25 15:04

이규 조회 수:1100

戰 싸울 전
兢 떨 긍

 

戰戰兢兢- 두려워서 몹시 떠는 상태


흔히 戰이라면 ‘싸우다’라는 뜻으로만 알고 있다.  戰爭, 戰鬪, 激戰 등이 그렇다.  하지만 ‘두려워 벌벌 떤다’는 뜻도 가지고 있다.  戰慄이 그 境遇다.  따라서 戰戰이나 兢兢은 둘다 ‘두려워 몹시 떠는 狀態’를 가리킨다.
  曾子는 孔子의 首弟子로 특히 孝行으로 有名하다.  그가 孝를 논한 [孝經]에 보면 다음과 같은 孔子의 말이 엿보인다.  “모든 身體는 父母로 부터 받은 것이니 함부로 損傷시키지 않는 것이 孝의 첫걸음이요…” {身體髮膚, 受諸父母, 不敢毁傷, 孝之始也…}
  그는 平生 동안 孔子의 말씀을 鐵則으로 삼고 지켰다.  그래서 臨終때 弟子들을 불러 행여 自身의 肉身에 損傷된 부분이 없는지 손과 발을 자세히 살펴보게 했다.  그러면서 [詩經]의 詩를 引用했다.
    戰戰兢兢 - 언제나 벌벌 떨면서
    如臨深淵 - 마치 깊은 못가에 있는 듯!
  그것은 자신이 孔子의 그 말씀을 지키기 위해 平生토록 戰戰兢兢, 마치 살얼음을 밟듯이 살아왔다는 뜻이다.  곧 戰戰兢兢은 본디 행여 잘못을 범하지나 않았는지 두려워 벌벌 떠는 데서 나온 말로 좋은 意味였음을 알 수 있다.  法과 秩序를 지키기 위해 戰戰兢兢한다면 이 또한 바람직한 社會가 되지 않을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4 完璧 셀라비 2014.03.12 1834
183 火 箭 이규 2013.08.20 1836
182 箴 言 이규 2013.10.19 1837
181 寒心 이규 2012.11.10 1839
180 馬耳東風 셀라비 2014.06.22 1841
179 刎頸之交 이규 2013.04.19 1842
178 蝴蝶夢 셀라비 2013.12.24 1842
177 遠交近攻 이규 2013.07.04 1844
176 一場春夢 이규 2013.10.15 1844
175 獨 對 이규 2013.12.08 1844
174 개차반 셀라비 2015.03.27 1844
173 부랴부랴 이규 2015.04.13 1846
172 董狐之筆 이규 2013.07.05 1847
171 彌縫策 셀라비 2014.09.23 1847
170 動 亂 이규 2013.09.16 1848
169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1849
168 黃 砂 이규 2013.07.18 1850
167 會 計 이규 2013.08.05 1850
166 問 津 이규 2013.10.25 1850
165 回 甲 셀라비 2014.06.19 1850